본 논문은 그동안 대안적 정당모델의 하나로 제시되어 왔던 원내정당모델에 대한 오해를 불식하고 본 모델이 추구하는 이상향(ideal type)을 보다 명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것을 위해 원내정당모델과 경쟁하는 대안적 정당모델들인 대중정당모델, 포괄정당모델, 선거전문가정당모델과 어떠한 차이를 갖는 것인지를 비교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그동안 한국 정당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학계의 논의는 크게 `대중정당모델`(mass party model)과 `원내정당모델`(parliamentary party model)로 수렴되어 왔다. 하지만 이 같은 두 정당모델 진영간의 논쟁이 최근까지 지속되고 있는 배경에는 바람직한 정당모델에 대한 학계의 이론적 공감대가 지체되고 있는 측면이 있다. 우선적으로 원내정당모델에 대한 개념정리를 보다 명료화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그동안 진행되어온 원내정당론자들에 대한 대중정당론자의 비판은 대체로 `원내정당모델`이 `포괄정당`과 `선거전문가정당`과 태동배경과 강조되는 정당기능측면에서 성격이 다른 모델임에도 불구하고, 마치 같은 것으로 전제한 상태에서 진행되어 왔기 때문이다.
This thesis intends to make some clarifications on the concepts of parliamentary party model theory that have been presented so far, but came to be misunderstood. Especially, I would like to compare with the difference between parliamentary party model under discussion from mass party model and the catch-all party model and the electoral professional party model. Until now, the theoretical discussions on the solution for the problems of Korean political parties have mainly converged on mass party model and parliamentary party model. However, the debate between the two sides has lasted until recently. desirable political party model for the background of academic theory, because there is no consensus and theoretical consensus is delay. above all, This paper seeks to search for the concept of the parliamentary party model needs to be clarity. because of this is to escape from misunderstanding that parliamentary party model is like catch-all party model and the electoral professional party mode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