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공간적 분포 특성만을 고려하고 있는 기존의 핫스팟분석에 대한 대안적인 방법으로서 공간상에서 나타나는 사건간의 인과관계를 시간영역으로까지 확장하여 동시적 분석이 가능한 시공간분석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분석방법으로는 먼저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지방중소도시인 M시의 범죄자료를 데이터화 하였고, Ripley K함수와 시공간검정통계량 분석을 통해 M시의 범죄분포 패턴을 지도화 하였다. 연구결과, 범죄위험도가 유의미하게 높은 지역들이 나타났으며, 이들 시공간적 범죄 집중지역들은 기존의 공간분포만을 고려한 범죄분포 패턴과는 다소 차이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시공간적인 범죄분포 특성에 맞는 맞춤형의 경찰 인력 배치와 배분, 그리고 치안행정 서비스 등의 조정을 위한 참고자료로서, 또한 시공간적인 집중을 보이는 이들 지역을 중심으로 물리적 환경 변화의 유도와 공간이용의 개선 효과를 통해 범죄율을 줄여나가는 범죄예방 활동 및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rime hotspot areas using the spatio-temporal cluster analysis which is possible to search simultaneously time range as well as space range as an alternative method of existing hotspot analysis only identifying crime occurrence distribution patterns in urban area. As for research method, first, crime data were collected from criminal registers provided by official police authority in M city, Gyeongnam and crime occurrence patterns were drafted on a map by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GIS). Second, by utilizing Ripley K-function and Space-Time Scan Statistics analysis,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crime was examin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isk of crime was significantly clustered at relatively few places and the spatio-temporal clustered areas of crime were different from those predicted by existing spatial hotspot analysis such as kernel density analysis and k-means clustering analysis. Finally,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not only utilized as a valuable reference data for establishing urban planning and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CPTED), but also made available for the allocation of police resources and the improvement of public security ser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