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기혼여성이 인식하는 부모의 부부관계가 현재 자신의 결혼생활에서의 부부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기혼여성이 갖고 있는 결혼에 대한 가치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의 1차 여성가족패널데이터(2007)를 사용하였으며, 배우자와 함께 살고 있는 기혼 여성 7,708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기혼여성이 인지하는 부모의 부부관계의 질은 현재 결혼생활의 부부적응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부부관계의 질과 현재 부부적응과의 관계에서 기혼여성이 갖고 있는 결혼에 대한 가치관의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기혼여성들은 부모의 부부관계가 원만하였다고 인지할수록 `결혼은 반드시 해야한다`는 태도는 높게, `자녀가 있어도 이혼을 할 수 있다`는 태도는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결혼관계에 대하여 결혼을 지지하고 유지하려는 보다 전통적인 가치관을 가진 여성일수록 현재 부부관계에서 부부적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부모의 부부관계의 질이 자녀의 부부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과 그 과정에서 결혼에 대한 가치관의 역할과 경로를 설명해준다. 이를 바탕으로 부부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입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effect of married women`s perception of parent`s marital relations on the perspective toward marriage and marital adjustment. The data of the 1st KLoWF-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 Family is used, and 7,882 cases of married women living with their spouses are analyzed. The result indicates that married women`s perception of their parent`s marital relations affect the current marital adjustment. Precisely, women who recognize that their parent`s relations were not harmonious tend to have lower adjustment in their own marriage. Further, parent`s marital quality directly affect married women`s marital adjustment and indirectly through the perspective toward marriage. Drawing on the result, this study suggests interventional methods; the necessity of extending couple-centered family culture, enhancing couple counseling and treatment for marital adjustment, preventive programs to preclude marital relations from transmitted between gener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