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후보
차생활이 시설입소 여성노인의 심박변이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ea Life on the Heart Rate Variability (HRV) of Elderly Women in an Nursing Home
박지영 ( Ji Young Park ) , 장세철 ( Sae Cheol Chang )
UCI I410-ECN-0102-2012-520-001651256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차생활이 요양시설 여성 노인의 심박변이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군(차생활을 하는 여성노인)과 대조군(차생활을 하지 않는 여성노인)으로 나누어 심박변이도를 실험전후로 측정하여 공분산 분석을 통하여 집단간 효과성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1. 시간영역의 심박변이도 검사에서는 HRV에 관여하는 모든 요인들의 변화를 반영하는 SDNN 값과 심장에 관여하는 자율신경을 평가할 때 이용하는 RMSSD 값에서는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미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2. 주파수 영역의 심박변이도 검사에서는 교감신경활동의 지표인 LF의 HF와 LF 값 전체의 백분위 값인 LF normal에서는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미한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부교감신경활동의 지표인 HF의 HF와 LF값 전체의 백분위 값인 HF normal에서는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미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실험집단이 소수인 한계가 있으나 규칙적인 차생활이 노인의 심장기능과 자율신경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심근경색증을 비롯한 허혈성 심장질환의 지표로 활용하는 SDNN이나 RMSSD의 증가는 차생활이 노인의 심장기능개선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시설에서 입소노인들을 대상으로 평소에 꾸준히 차생활 프로그램을 실시한다면 몸과 마음을 편안하게 하여 심혈관 관련 질환에 대한 예방을 도모하고 다담을 나눔으로써 스트레스를 줄이고 원만한 대인관계 형성을 통해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향후 차 생활이 노인의 심박변이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차생활이 노인요양시설 프로그램으로서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ea on the heart rate variability (HRV) of elderly women in a nursing home. For the study, 18 volunteers aged 60 to 80 in a nursing home in Seosan city participated Before the experiment, all subjects were pre-tested using SA-3000P (Medicore Co. Ltd. Korea), and their HRV data were recorded. Subjec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eight subjects) and control group (ten subjects). The experimental group practiced tea manners and drank tea every day after lunch for 31 days. The control group had no any specific treatment. After 31 days, all subjects of the two groups were post-tested. HRV data were analyzed by un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n value of HRV indices. In the time domain analysis, SDNN and RMSSD indice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s did the LF normal index In in the frequency domain analysis. However, the HF normal index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This study indicates that tea improved the cardiac conditions of elderly women. Moreover, the results encourage the development of atea life program for the elderly living in nursing hom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