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노동분배율, 자본분배율, 기술계수 그리고 물가지수의 다양한 요소들로 구성된 새로운 마크업 추정방정식을 유도하고 제조업을 중심으로 한국의 22개 산업별 마크업을 추정하였다. 추정된 산업별 마크업의 특징은 첫째, 마크업은 대 부분의 산업에서 1980년대 후반에 급격히 감소되는 공통된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1980년대 후반에 시작된 경제개방정책, 산업구조정책, 임금인상(요소분배율의 변화)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둘째, 산업별 마크업은 대부분의 산업에서 경기역행적인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마크업방정식 구성요소와 산업별 경기변동을 나타내는 산업별 부가가치와의 회귀분석을 통하여 마크업의 경기 역행성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제시하였다 특히 마크업의 경기역행성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노동분배율의 경기순행적인 효과가 다른 구성요소의 효과에 비해 더욱 크게 기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