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여성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대표성 있는 자료인 여성가족패널조사자료가 활용되었으며, 선행연구에서 각각 제시된 결혼만족도의 영향요인들을 인구사회학적 특성, 배우자 상호작용 특성, 원가족 상호작용 특성 변인들로 묶어 그 영향력을 포괄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와 차별성을 갖는다. 특히 원가족 상호작용 특성이 다른 변인들을 통제한 후에도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는 3329명의 조사 자료가 사용되었으며, 연구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의 영향력을 통제한 후에도 배우자 상호작용 특성은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인구사회학적인 특성과 배우자 상호작용 특성의 영향력을 통제한 후에도 원가족 상호작용 특성이 결혼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갖는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여성의 결혼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배우자 상호작용 특성에 중점을 둔 개입을 더욱 확대할 것과 원가족 상호작용 특성에 대한 사회적 개입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다양한 실천적 정책적 서비스를 제안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find factors affecting the marital satisfaction of women. Using the first year women`s panel data of Korea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a series of analyses including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ere taken to examine the comparative influence of socio-demographic factors, factors of the interaction with spouse and factors of the interaction with family of origin, Findings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identified that the influence of interaction with spouse was high, and factors of interaction with family of origi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marital satisfaction even after controlling the influences of other factor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necessity for social interventions on factors of interaction with spouse and with her own family of origin were suggested and other suggestions for the practice and policy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