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대청댐 유역의 수계 변화를 GIS 기반에서 정량적·정성적으로 해석하기 위해 다시기의 Landsat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대청댐 건설이후부터 근래까지 유역의 수계 변화를 탐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81년, 1987년, 1993년, 2002년에 해당하는 각각의 Landsat 위성영상에 대하여 수계, 식생, 도로 및 인공지물 등의 클래스를 지정하고 감독분류기법을 적용하여 유역에 대한 변화를 분석하였다. 감독분류의 결과로부터 4개 시기의 위성영상 중 수계만을 추출하여 중첩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대청댐 유역의 수계에 대한 시계열적 변화를 효율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the hydrosphere change of the Daecheong dam basin was detected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using Landsat satellite images until recentness since the construction of Daecheong dam. The hydrosphere change of the basin was analyzed by applying supervised classification about Landsat satellite images which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hydrosphere, vegetation, road and etc. for four distinct years which are 1981, 1987, 1993, and 2002 year. Landsat satellite images of each year were achieved overlay analysis with extracting only the hydrosphere, and though these results, the hydrosphere change of the Daecheong dam basin was monitored efficient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