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0
18.97.14.80
close menu
Candidate
현대사회와 소외(疏外) : 소외된 세대의 복원: 386세대 "내(內)"에 대한 세대사회학적 접근
Reconstruction of neglected generation: A study of "within"386generation based on sociology of generation
오찬호 ( Chan Ho Oh )
UCI I410-ECN-0102-2012-300-001865332

세대`내`의 세대를 주목하는 것은 색다르다. 그것은 다른 `일부`의 세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것이 복수(複數)형일수록 `모든` 세대를 가장 근접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가능성이 풍부해진다. 세대`내`를 보게 되면, 훨씬 정교한 사회분석의 지점들을 발견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연구주제를 바탕으로 진행되었다. 사례연구로서 386세대가 선정되었다. 이는 386세대가 가장 강력한 하나의 세대로써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386세대를 `제대로` 본다는 것은 386세대와 다른 세대의 차이점을 보는 것이 아니라, 386세대 `안`을 분절적으로 세분화하여 보는 것이다.

It is somewhat different to focus on groups `within` the generation; to identify different `parts` of the generation. The more `parts` are described in the generation, the more close explanation of the generation could be possible. Therefore, seeing the groups within a generation may allow much more abundant points of proper social analysis to be found. This case study was Based on the assumption. It was carried out on the 386generation, since it was believed to be the most powerful generation in our society. By looking at a lot of groups `within` the generation, not by observing its difference from other generations but by dividing it into tiny parts, we could get to the more close understanding of the generat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