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질투의 진화심리학적 관점과 심리·사회적 관점에 근거하여 연애관계에서 나타나는 질투의 성차를 검증하고, 성별에 따라 질투에 영향을 미치는 성격차원 및 사랑유형의 효과와 질투의 성차를 중재하는데 기여하는 심리적 변인을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대학생 189명을 대상으로 가상의 질투시나리오를 이용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질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진화심리학적 관점에 근거한 질투의 성차가 반복 검증되어 남성이 여성보다 성적 부정에 대한 질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성격차원과 사랑유형이 성적 부정의 질투에 미치는 영향은 성별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 남성의 경우 외향성-내향성 성격과 우애적 사랑유형이 성적 부정의 질투에 영향을 미치는데 반해, 여성의 경우 소유적 사랑유형이 질투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질투의 성차를 조절하는데 기여하는 변인으로써 외향성-내향성 성격차원의 중재효과는 남성의 경우만 지지되어, 외향적 성격특성을 지닌 남성들이 내향적인 남성들보다 파트너의 성적 부정에 대한 질투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성격차원과 사랑유형이라는 개인차 변인이 성적 부정의 질투에 미치는 영향력은 남녀에 따라 다르게 작용하는 것을 시사해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between-sex differences and psychological variables devoted to within-sex differences by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personality dimensions and loving styles in romantic jealousy based on evolutionary and psycho-social perspective. 189 university students were asked to complete an imagined jealousy scenario and then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correlation and regression. Results showed that between sex-differences in jealousy was replicated by men reported greater sexual jealousy than women. Extraversion-introversion and storge were predicted of sexual jealousy for men whereas mania was most predicted for women. In addi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extraversion-introversion on within-sex differences in jealousy was supported, but primarily for men. Relative to men with introversion, men with extraversion reported greater jealousy about partner`s sexual infidelity.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individual differences such as personality and loving styles affect sexual jealousy for men and women in different wa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