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가계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의 청년층 빈곤이 다른 생애주기에 있는 연령집단과는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또 청년층 빈곤은 어떤 특징을 갖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18세 미만 아동보다 초기 청년기인 18-24세의 빈곤율이 더 높고 빈곤의 ‘점프현상’이 나타났다. 또, 1998년부터 대표년도를 정해 청년빈곤의 시계열적 추이를 살펴보면, 18-24세 인구의 빈곤율이 증가하는 추이를 보인다. 경제위기 이후의 노동시장 유연화와 불안정성의 증가는 이 집단에게 불리한 방향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청년빈곤의 특징을 아동빈곤, 근로빈곤적 측면에서 규명했을 때, 우리나라 18-34세 집단은 두 가지 특성이 혼재되어있다. 가구주의 비율이 높지 않고 부모가구의 자녀로 남아있는 비율이 높은데, 이들이 청년빈곤층의 60%를 차지하여 아동빈곤의 특성을 나타낸다. 한편, 청년가구주의 취업률, 취업자 소득 등을 통해 근로빈곤적 특징을 살펴보았을 때, 빈곤층의 경우 취업률이 낮고 취업을 하더라도 소득수준이 100만원에 미치지 못한다. 이들 집단은 실업상태에 있거나 저임금 취업을 하고 있어 근로빈곤적 특징을 나타낸다. 청년기 빈곤의 복합성(가족유형, 가구지위 및 생애주기)을 고려했을 때, 실업문제를 넘어 청년층의 경제적 어려움을 보다 포괄적인 관점에서 접근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size and characteristics of youth poverty in Korea, using the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data. Finding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overty of early youth, aged 18-24, is higher than child poverty and shows `a sudden jump` compared to other age groups. time serial trend of youth poverty during the last ten years, from year 1998 to year 2008, shows that the poverty of 18-24 age youth group is increasing, reflecting the extension of educational period and the deterioration of youth labour market. Second, Korean youth poverty share both characteristics of child poverty and working poor. 60% of poor youth are the children of poor parents, showing that the formation of the independent household is difficult and Korean youth are dependent on their parents for a long time. In case of poor youth householders, both the employment rate and mean income from the employment is low, showing the working poor aspects of the youth poverty. Considering the complexity of youth poverty, this study suggests a wholistic approach (including family types, household status and life course) to analyse the economic difficulties of youth beyond youth unemploy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