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1
18.97.14.81
close menu
SCOPUS
Exercise and Mental Health
(Daniel M. Landers)
운동과학 vol. 7 iss. 2 131-146(16pages)
UCI I410-ECN-0102-2009-690-009402584

운동과 정신건강. 운동과학, 제7권 제2호. 131-146, 1998. 수많은 피험자를 대상으로 한 많은 연구로부터 나온 연구 문헌들은 운동이 우울감이나 불안 증상을 완화시켜주는 것과 관련된다는 것을 지지하는 상당한 증거가 존재함을 보여주고 있다. 이들 전체 관련성은 행동적인 인공물에 기인하지는 않을 것이다. 운동과 불안 및 우울감 감소간의 관련성을 알맞게 하는 변인들이 논의될 것이다. 만약 이 전체 관련성이 인과적인지 어떤지를 밝혀내기 위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고, 전체 관련성을 알맞게 하거나 설명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변인들은 더 세밀히 조사해야하는 용구 또한 존재한다. 초기 양적인 문헌고찰에서 정신 건강에 긍정적으로 연관되는 다른 변인들이 가능성 있는 증거를 보였다. 현재 유산소 운동은 긍정적인 기분과 자아 존중을 높이고, 더 편안한 숙면을 취하고, 인지적 기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절한 변인들이 가능성 있는 증거를 보였다. 현재 유산소 운동은 긍정적인 기분과 자아 존중을 높이고, 더 편안한 숙면을 취하고, 인지적 기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절한 변인들이 자아존중, 수면, 그리고 인지적 기능을 위해 논의될 것이다. 그러나 운동과 긍정적 기분, 운동과 인지적 기능간의 전체적 관련성은 잠재적으로 행동적 인공물에 기인할 것이고 더 많은 연구가 이를 위해 요구된다. 금성과 만성 운동 후에 특별한 불안과 우울감 감소와 같은 몇몇 심리적 변인들을 위해 신체활동과 건강에 관한 1996년 보고서에 제시된 것보다 강력한 주장을 증명하는 충분한 증거들이 현재 존재하고 있다.

Exercise and Mental Health. Exercise Science, 7(2); 131-146, 1998. The research literature derived from hundreds of studies with thousands of subjects now indicates that there is considerable evidence to support the claim that exercise is related to a relief in symptoms of depression and anxiety. It is extremely unlikely that these overall relationships could be due to behavioral artifacts. The variables which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and reductions in anxiety and depression will be discussed. More research is needed to determine if this overall relationship is causal, and there is also a need to further examine some of the variables that are believed to moderate or explain the overall relationship. For other variables related to positive mental health the initial quantitative reviews of the literature have shown evidence that is promising. At the present time, it appears that aerobic exercise enhances positive mood and self-esteem, produces more restful sleep, and increases cognitive functioning. Moderating variables will be discussed for the self-esteem, sleep, and cognitive functioning. However, the overall relationships between exercise and positive mood and exercise and cognitive functioning could potentially be due to behavioral artifacts and more research is needed to examine this. For some of these psychological variables, particularly reductions in anxiety and depression following acute or chronic exercise, there is now sufficient evidence to justify stronger statements than currently exists in the 1996 Surgeon General`s Report on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