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9
18.97.14.89
close menu
SCOPUS
장년층 활동성 생활자의 효율적인 피로회복방법 연구
Effective methods of fatigue recovery on the active old aged man
이병근(Byung Kun Lee),전태원(Tae Won Jun)
운동과학 vol. 6 iss. 1 73-84(12pages)
UCI I410-ECN-0102-2009-690-009402786

장년층 활동성 생활자의 효율적인 피로 회복방법 연구. 운동과학, 제6권 제1호, 73-84, 1977. 본 연구의 목적은 최대하운동후의 안정, 고온침수욕 및 사우나회복이 젖산, 심박수, 산소섭취량, 구강온도, 코티졸 및 프로락틴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농업을 주업으로 하는 남성 9명(47±2.2세)이었으며, 자전거 에르고미터에서 50% V˙O₂max의 강도로 30분간 운동을 실시하고 3가지 방법으로 회복을 취하였다. 통제집단은 최대하운동이 끝난 후부터 안정휴식을 취하였고, 고온침수욕 집단은 20분(5분 휴식 포함) 동안 고온침수욕(40±1℃)을, 사우나 집단은 사우나를 실시하고 이후에는 안정회복을 취하였다(건구온도 85℃, 상대습도 21%). 젖산과 산소섭취량은 회복처치후에만 고온침수욕 및 사우나집단과 통제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심박수와 구강온도는 회복처치후와 회복 15분에서만 고온침수욕 및 사우나집단과 통제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코티졸의 경우 회복 30분에만 고온침수욕 및 사우나 집단과 통제집단 사이에 차이가 나타났다(P<0.05). 프로락틴의 경우 회복처치후 및 회복 30분 모두에서 고온침수욕 및 사우나집단과 통제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본 연구의 결과는 고온침수욕과 사우나욕은 모두 인체의 대사작용을 증가시켜 노폐물 제거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Effective methods of fatigue recovery on the active old aged man. Exercise Science, 6(1); 73-84, 197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nge of LA, HR, V˙O₂, cortisol and prolactin during rest, bath and sauna recovery after submaximal exercise. Total of nine healthy males were recruited in the study(47±2.2yrs). After 30 minutes exercise of 50% V˙O₂max, they were took three recovery methods. After the exercise, the control groups were took a resting recovery. The bath groups were took a bath recovery(40±1℃) for 20 minutes(included rest for 5 minute) and a resting recovery of the other time. The sauna groups were took a sauna recovery for 20 minutes(dry temperature 85℃, relative humidity 21%).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bath, sauna group and control group on LA and V˙O₂ at the end of recovery treatment only.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bath, sauna group and control group on HR and oral temperature at the end of recovery treatment and 15 minutes of recovery.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bath, sauna group and control group on cortisol at 30 minute of recovery, and on prolactin at the end of recovery treatment and 30 minute of recovery. As a result, the bath and sauna treatment were the effective method in recovering from fatigue with increasing metabolic reaction of bod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