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로 다른 강도의 제자리 벤취 스텝핑 운동이 40대 중년 여성의 최대 운동시 혈청지질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제6권 재1호. 13-22, 1977. 본 연구는 좌식생활을 주로 하는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운동 전, 4주후, 그리고 8주후 각 스텝 높이(15.3㎝, 20.3㎝, 25.4㎝)와 음악의 템포(0∼4주 : 115bpm, 5∼8주 : 120bpm, 9∼12주 : 125bpm)를 이용하여 운동부하 강도 프로그램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 설정된 운동 프로그램에 의해 최대심박수의 90∼100%와 최대심박수의 80∼90% 강도로 제자리 벤취 스텝핑 훈련을 12주 동안 훈련을 실시하여 최대 운동후 혈청지질의 변화 양상을 규명함으로써 중년 여성들의 성인병 예방과 치료를 위한 운동유형의 방법으로 적용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C에서 훈련 전·후 80∼90%, 집단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며, 90∼100% 집단은 유의한 증가(P<0.05)를 나타냈다. 집단 간 비교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TG에서 훈련 전·후 80∼90% 집단은 유의한 증가(P<0.01)를 나타냈으며, 90∼100% 집단은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지 못했다. 집단 간 비교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HDL-C에서 운동 전·후 80∼90%와 90∼100% 집단은 유의한 증가(P<0.05)를 나타났다. 집단 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LDL-C에서는 두 집단 모두 운동 전·후에 변화를 나타내지 못했으며, 집단간에서도 변화를 나타내지 못했다. 따라서 12주간의 제자리 벤취 스텝핑운동은 80∼90%와 90∼100%의 운동강도는 심폐지구력과 관련이 있는 HDL-C수준 농도에 있어서만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으나 최대 운동시 다른 요인의 혈청지질의 변화 양상에는 효과적인 결과가 없었다. 그러므로 심혈관계와 관련이 있는 HDL-C수준 변화는 제자리 벤취 스텝핑 훈련을 통해 효과적인 양상을 보였기 때문에 심혈관계와 관련이 있는 제자리 스텝핑 훈련이 중년 여성들의 심혈관질환의 예방적인 운동의 유형으로 이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Effects on serum lipid profile after maximal exercise of two different bench-stepping training intensities in place in 40-49 healthy middle-aged women. Exercise Science, 6(1); 13-22, 197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ench-stepping in place training on the level of serum lipid in 40∼49 healthy middle-aged women. The 16 subjects are divided into Group I (90∼100% HRmax) & Group II(80∼90% HRmax) bench-stepping training groups by using each stepping height(15.3cm, 20.3cm, 25.4cm) & music tempo(0∼4week: 115bpm, 5∼8week: 120bpm, 9∼12week 125bpm) before training, after 4week training, after 8week training. And two different bench-stepping training groups were to compare and analyze on the level of serum lipid for 12week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After 12weeks training, the group I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TC(P<0.01) & HDL-C (P<0.05), and the group II showed increase in TG(P<0.01) & HDL-C(p<0.05), but LDL-C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group I·II(p>0.05). 2. The level of TC, HDL-C, TG, and LDL-C between groups showed not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bench-stepping training favorably alters HDL-C profile in 40∼49 middle-aged women. Therefore, the effects of HDL-C after 12 weeks bench-stepping training in place can be suggested as an effect to prevent CHD for the healthy middle-aged wem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