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9.171
18.97.9.171
close menu
Candidate
공정공시제도 하에서 경영자 예측이익의 정보효과 -코스닥시장을 중심으로-
The Information Content of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under Fair Disclosure -In the KOSDAQ Market-
이규진 ( Kyu Jin Lee )
세무회계연구 vol. 26 181-204(24pages)
UCI I410-ECN-0102-2012-320-001876335

우리나라에서 2002년 11월 1일부터 시행된 공정공시제도는 증권거래소 상장기업 및 코스닥 상장기업에게 회사의 경영정보, 재무에 관한 사항 및 미래 사업계획 등 중요한 투자 정보를 기관투자자, 재무 분석가, 개인투자자 등에게 공시하도록 하고 있다. 공정공시제도를 통해 공시되는 매출액과 영업손익에 대한 예측은 경영자의 추정에 의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해관계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정보의 신뢰성이 전제되어야 한다. 그러나 경영자의 이익예측공시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는 규제 및 감독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경영자는 낙관적인 정보만을 이해관계자들에게 제공할 유인이 존재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공정공시제도 시행이후 코스닥시장에서 정보이용자들이 경영자 영업이익 예측치를 이용하여 투자의사결정을 하는지를 알아본다. 또한 경영자 영업이익 예측치는 사후적으로 입증이 가능하다. 따라서 경영자 영업이익 예측치가 과대예측된 것으로 판명되는 경우 시장이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는지를 살펴본다. 이를 통해 시장의 자율적인 감시 기능이 존재하는지 검증한다. 연구결과 경영자 영업이익 예측치를 공시한 시점의 비기대이익은 누적초과수익률과 유의한 양(+)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산일 이후 당기 영업이익이 공시된 시점에서 당기 영업이익과 경영자 영업이익 예측치의 차이는 누적초과수익률과 양(+)의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사후적으로 경영자 영업이익 예측치가 과대예측된 것으로 판명되는 경우 음(-)의 주가반응이 나타났다. 경영자 영업이익 예측치가 사후적으로 부정확한 경우 이를 억제할 수 있는 시장의 자율적인 감시기능이 있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공시정책감독기관에 제도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information content of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using a sample of fair disclosure reported on the DART system from 2004 to 2008. I investigate a relation between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and cumulative average residual. In the result of the empirical tests, first, I fin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 between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and cumulative average residual on forecasting date, so this stock reaction means that the information users use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has information usefulness. second, I find insignificant positive relation between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and cumulative average residual on earnings announcement date. third, I find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 between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accuracy and cumulative average residual on earnings announcement date. it means that market has autonomous monitoring system. the result of the empirical tests suggest supervisory office institutional assistanc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