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비디오피드백을 활용한 다차원적 발표불안 감소 집단 프로그램이 여고생의 발표불안, 자기효능감 및 발표행동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 multi-dimensional group program using video feedbacks for the reduction of public speaking anxiety on the presentation anxiety, self-efficacy and presentation behaviors among the female high school students
장선숙 ( Seon Sook Jang ) , 신현균 ( Hyun Kyun Shin )
UCI I410-ECN-0102-2012-180-001118169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비디오피드백을 활용한 인지행동적 방법 및 이완, 대처 능력 향상 등 다차원적 집단 프로그램이 전문계 여고생의 발표불안, 자기효능감 및 발표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발표불안 검사에서 높은 점수를 받고 프로그램에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30명을 선발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5명씩을 무선 할당하고 실험집단에게 주 1회~2회 총 8회기에 걸쳐 발표불안 감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집단별로 프로그램 사전, 사후 검사 점수에 대해 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하였다. 즉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프로그램 사후에 발표불안이 감소하고 자기효능감 및 발표행동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본 연구는 무선 할당을 통한 실험적 통제와 더불어 다각적인 처치 효과 측정 척도를 사용하여 경미한 발표불안을 가진 고등학생들의 발표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비디오피드백과 자동적이고 비합리적 사고의 교정, 긴장 이완과 대처 능력 개발 등 다차원적인 개입이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multi-dimensional group program using video feedbacks for the reduction of public speaking anxiety on the presentation anxiety, self-efficacy and presentation behaviors among the third grade female students in a commercial high school. Among the students who had high scores in a presentation anxiety test, 30 students who want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were selected and assigned randomly into two groups. The subjects of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8 session intervention program once or twice a week. It took 60~90 minutes for each session. Pre-test and post-test scores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compared using two-way ANOVA.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lower presentation anxiety, higher self-efficacy, and more appropriate presentation behaviors than the control group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he meanings of his study were as follows. It was replicated som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at the multi-dimensional intervention including video feedback, cognitive techniques, relaxation and coping strategies was useful for the reduction of public speaking anxiety through the controled study using random assignment and several measures including rating scales by others as well as self-reports. Finally, Som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