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사회과 평가 영역 설정의 동향과 과제
Trends and Tasks on Settlement of Social Studies` Evaluation Domains
박영석 ( Young Serk Park )
UCI I410-ECN-0102-2012-330-001004357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 평가 영역 설정의 동향을 살펴보고 개선을 위한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평가 영역에 대한 사회과 교육과정, 국가수준 사회과 평가의 경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회과 교육과정에서는 평가 영역을 지식, 기능, 가치·태도 영역으로 구분하여 제시하는 경향이었다. 국가수준의 평가에서 학업성취도 평가는 지식이해, 문제해결, 의사소통, 가치·태도 영역으로 구분하면서도 가치·태도 영역은 평가를 하지 않고 있었고, 대학수학능력시험은 탐구 능력 중심으로 평가 영역을 세분하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본 연구는 사회과 평가영역 설정의 과제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사회과 평가 영역에서 내용 영역과 구분하여 행동 영역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실행되는 평가 도구들이 측정할 수 있는 평가 영역의 한계를 확인하고, 평가도구의 특성에 부합하는 평가 영역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 정의적 영역의 평가 목표를 설정하고 평가도구 설계도 이와 관련지어 연구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rends and tasks on settlement of social studies` evaluation domain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review materials about social studies` evaluation domains, such as social studies curriculum, national level tests. Results of analysis, social studies` evaluation domains are classified as knowledge, skill, value and attitude, and sometimes divided as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 in social studies curriculum. National achievement assessment classify evaluation domains as knowledge understanding,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 value and attitude, but value and attitude domain is not tested, and i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evaluation domains are focused to inquiry abilities. From the basis of such analysis, I suggest tasks on settlement of social studies` evaluation domains as follows. First, they are required to classify content objectives and behavioral objectives in social studies` evaluation domains, and to settle behavioral objectives that respond to features of social studies` evaluation. Second, it is needed to check limitations of evaluation domains that are measured by present evaluation instruments, and to design behavioral objectives to reflect merits of evaluation instruments. Thirds, it is needed to settle behavioral objectives of affective domain in considering merits of affective evaluation`s instrument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