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Campa and Goldberg (1997) 및 Strauss-Kahn (2003)의 아웃소싱지수 추정방법 및 산업 연관표를 이용하여 해외 R&D 서비스업 아웃소싱 지수와 국내 R&D 서비스 아웃소싱 지수를 구하고 이들의 총 요소생산성 증가에 대한 기여를 추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국내외 R&D 서비스로의 아웃소싱은 분석기간 (1995~2006년)동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나 아직 여타 산업부분으로의 아웃소싱에 비하여 규모도 작으며 진전의 정도도 더디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비용함수 추정결과 국내 R&D 서비스아웃소싱의 경우 일정규모이하에서는 비용을 증가시키나 일정수준이상에서는 제조업의 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R&D 서비스 아웃소싱에도 규모의 경제가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데 일정규모가 확보될 경우에만 R&D 서비스 아웃소싱이 제조업의 비용감소에 긍정적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다. 셋째, R&D 아웃소싱의 총 요소생산성증가에 대한 기여는 외환위기 이전 보다는 외환위기 이후 특히 2005년 이후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앞의 비용함수 추정결과를 참조할 때 국내 R&D 서비스 아웃소싱의 규모가 확대되면서 일정한 규모의 경제가 확보된 결과로 해석된다. 산업별로는 R&D 서비스 아웃소싱 집약도가 높은 산업일수록 R&D 아웃소싱의 총 요소생산성향상에 대한 기여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Using I-O tables and outsourcing index developed by Campa and Goldberg (1997) and Strauss-Kahn (2003), this study estimates R&D outsourcing indexes and investigates the contribution of R&D outsourcing to the growth of TFP (Total Factor Productivity) in Korean manufacturing industries. The empirical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D outsourcing increases for the period 1995~2006. However, the growth rate is much slower than outsourcing to other service industries. Second, production cost and R&D outsourcing show inverted U-shaped relationship. This result shows that R&D outsourcing contributes to the growth of TFP only after it pass a certain critical scale. Third, the contributions of R&D outsourcing to the growth of TFP increase after the financial crisis. Fourth, the contribution of R&D outsourcing to the growth of TFP is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intensity of R&D outsourc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