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대장내시경적 용종절제술 후 발생하는 지연성 출혈의 위험 인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가천의대길병원에서 대장내시경적 용종절제술을 시행받은 1,542명의 3,530예를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사용된 용종절제술은 고온생검법, 올가미법, 점막절제술로 정의하였으며 전절개 후 점막절제술이나 점막하박리술은 제외하였다. 지연성 출혈의 위험인자를 환자 관련 인자(나이, 성별, 동반 질환 유무, 항응고제복용 유무, 항혈소판제 복용 유무), 용종 관련 인자(크기, 형태, 위치, 조직진단), 시술 관련 인자(내시경의사의 숙련도, 수면유무, 절제방법)의 3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결과: 용종절제술 후 지연성 출혈은 24명(1.6%)의 26예(0.7%)에서 발생하였다. 시술 후 지연성 출혈 발생까지의 평균기간은 2.5일(범위 1~11일)이었으며 약 70%에서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였다. 용종을 기준으로 시행한 단변량 분석에서 비수면(p=0.014), 올가미법이나 점막절제술(p<0.001), 용종의 크기가 큰 경우(p<0.001), 유경성(p<0.001), 샘종이나 샘암종(p=0.005)인 경우에 지연성 출혈이 더 많았다. 다변량 분석결과 15 mm 이상의 용종(OR, 2.882; 95% CI, 1.106 to 7.506; p=0.030)과 비수면 대장 내시경(OR, 2.606; 95% CI, 1.116 to 6.084; p=0.027)이 의미 있는 위험 인자였다. 대장내시경을 기준으로 시행한 다변량 분석에서는 비수면 내시경(OR, 2.854; 95% CI, 1.144 to 7.120 p=0.027)과 고혈압(OR, 2.938; 95% CI, 1.009 to 8.557; p=0.048)이 지연성 출혈을 증가시켰다. 결론: 대장 내시경적 용종절제술 시 용종의 크기가 큰 경우, 비수면 대장내시경, 고혈압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지연성 출혈의 위험 인자이다.
Background/Aim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risk factors for delayed bleeding after colonoscopic polypectomy. Methods: 3,530 polypectomies in 1,542 patients were evaluated. Risk factors were identified among patient-related factors (age, sex, comorbidity, anticoagulants, antiplatelets), polyp-related factors (size, shape, location, histology), and procedure-related factors (experience of the endoscopist, sedation, resection method). Results: Delayed bleeding occurred in 26 lesions (0.7%) of 24 patients (1.6%). Polyp-based multivariate analysis revealed that polyp size greater than 15 mm (OR, 2.882; 95% CI, 1.106 to 7.506; p=0.030) and sedation-free colonoscopy (OR, 2.606; 95% CI, 1.116 to 6.084; p=0.027) were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delayed bleeding after polypectomy. In colonoscopy-based analysis, hypertension increased the risk of delayed bleeding after polypectomy (OR, 2.938; 95% CI, 1.009 to 8.557; p=0.048). Conclusions: Large polyp size, sedation-free colonoscopy, and hypertension are associated with delayed bleeding after colonoscopic polypectomy.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2010;40:164-1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