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43
216.73.216.143
close menu
KCI 등재
온라인 뉴스의 제목달기 분석: 네이버 뉴스캐스트의 헤드라인 특성을 중심으로
Study Examines the Headlines in the Newscast Service of Naver
최영 ( Young Choi ) , 박창신 ( Chang Shin Park ) , 고민경 ( Min Kyung Ko )
UCI I410-ECN-0102-2012-710-000841654

본 논문은 네이버 뉴스캐스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온라인 뉴스제목 달기`의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온라인 저널리즘의 속성을 파악하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이를 위해 뉴스의 제목을 분석대상으로 하여 전통적 저널리즘에서 `올바른 제목달기`의 기본 원칙이 `뉴스 헤드라인 포털`의 성격을 가지는 뉴스캐스트에서 어느 정도 지켜지는 지를 분석했으며, 그 결과 제목의 선정성 경쟁이 어떤 이유에서 어떤 방식으로 이뤄지는지를 알아내고자 했다. 분석 결과 뉴스캐스트로 살펴 본 온라인 뉴스 서비스에서는 전통적인 제목 저널리즘의 가치가 상당히 훼손되거나 지켜지지 않았다. 네이버 뉴스캐스트 분석에서 확인한 `뉴스의 제목 달기`의 속성은 크게 다음의 3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헤드라인은 정보의 전달 만큼 네티즌 독자의 관심을 끄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둘째, 헤드라인으로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명료성과 헤드라인의 문법적 완결성은 뉴스캐스트에서 그다지 중요하게 취급되지 않는다. 셋째, 위의 두 가지 속성에 덧붙여 편집자가 제목을 보다 눈에 띄게 하는 방안으로 선정적인 제목을 다는 경우가 빈번하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headlines in the Newscast service of Naver, the most influential news portal service in Korea, in terms of functions and the level of sensationalism. It is safe to say that the headlines of Newscast are messages by themselves and have an impact on cognitive consciousness of reader. One composite week in July 2009 was constructed and used for the analysis. The data included 1,951 headline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headlines were often utilizing for `fishing` (drawing user`s attention) rather than delivering or summarizing information of the main news articles. Approximately a half of the headlines in this study didn`t provide any information about news themselves. And in many cases headlines were not grammatically correct. It is also found that the guideline of editing headlines, which korean editors association calls `the rule of independent headlines`, were frequently ignored in this study. Finally, the level of sensationalism of the headlines in the Newscast was high as we expected and remained a strong force in the Newscast service for catching reader`s ey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