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8
18.97.14.88
close menu
세포체적과 세포수에 의한 식물플랑크톤의 현종량 산정 비교
Comparlson between the Methods Using Cell Number and Cell Volume for Measuring Standing Crops of Natural Phytoplankton Popylation
이정호 (Jung Ho Lee)
UCI I410-ECN-0102-2009-450-009568490

세포체적에 의한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산정의 적합성 검토를 위하여 대청호 식물플랑크톤 군집을 대상으로 출현종 각각의 세포 체적을 계산하여 이를 토대로 현존량을 산정하였으며, 세포수에 의한 결과와도 비교 고찰 하였다. 시료는 대청호의 3개 조사정점에서 1997년 3월부터 1998년 2월까지 매월 1회식 채취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총 95 taxa의 출현종에 대해 각각의 세포체적을 계산하였는데, 세포체적이 가장 큰 분류군은 59,287㎛^3cell^-1의 Ceratium hirundinella였으며 최소는 Microcystis ichthyoblabe의 2.2㎛^3cell^-1였다. 출현종 중 남조강의 평균 세포체적은 112.4㎛^3cell^-1로서 규조강의 평균치 2,434㎛^3cell^-1과 녹조강의 평균치 550.5㎛^3cell^-1의 각각 22분의 1과 4.9분의 1에 불과하였다. 세포체적과 엽록소 a농도와의 상관계수(R)는 0.934로서 상관계수가 0.790인 세포수보다 상관도가 훨씬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남조류 수화 기간인 6월부터 9월까지는 세포수와 엽록소 a농도의 상관계수가 0.772인데 반해 세포체적은 상관계수가 0.957에 달하여 상관도가 대단히 높은 것으로 나타나 실제 식물플랑크톤의 생물량을 반영하는데 유의성이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