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63
216.73.216.163
close menu
KCI 등재
유아의 보조사 사용에 관한 종적 연구 -31~43개월 아동을 대상으로-
A Longitudinal Study of Using Delimiters in Early Childhood: Centered on Children 31 to 43 Months Old
이필영 ( Phil Young Lee ) , 김정선 ( Jung Sun Kim ) , 심민희 ( Min Hee Shim )
청람어문교육 40권 97-123(27pages)
UCI I410-ECN-0102-2012-530-002365328

본 연구에서는 31개월부터 43개월의 아동 네 명을 종적으로 관찰하여, 보조사 목록과 출현 빈도, 초출 시기를 중심으로 한 사용 양상과 보조사가 결합하는 선행 요소에 따른 분포적 양상을 분석하였다. 1) 유아들의 보조사 사용 발화 비율은 평균 약 11.4%였고, 출현한 보조사 목록은 총 10개였다. 출현 보조사 목록과 출현 순위에서는 고빈도로 출현하는 상위 3위인 `은, 도, 만`을 제외하고는 유아별로 차이가 있었다. 4위부터 10위까지는 `다(가)`, `까지`, `들a`, `밖에`, `부터`, `(이)나`, `대로`의 순이었는데 유아별로 `(이)나`나 `대로`가 출현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형태별 초출 시기는 `은, 도, 만`은 31개월 이전에 습득된 것으로 보이고, `다가, 밖에, 까지, 부터, 들`의 순서로 나타났다. 2) 보조사에 선행하는 요소는 명사구, 격조사, 어미, 부사 및 보조사 순으로 많이 나타났는데 유아별로 결합 유형의 출현 목록 및 순위는 차이가 있었다.

In this study, the author performed a longitudinal observation on four children whose ages were 31 to 43 months old, analyzing types of using delimiters based on a list of delimiters, frequency of appearance, and time of first appearance, and distributed modes based on preceding factors combined with delimiters. First, the average of speaking delimiters used by the children was 11.4%, and the list of delimiters appearing included ten delimiters. There were differences by each child in the list of appearing delimiters and the ranking of their appearance, except for the upper three ones `은, 도, and 만` that appeared with higher frequency. Then, `다(가), 까지, 들a, 밖에, 부터, (이)나,` and `대로` in order appeared, and some children did not speak `(이)나` or `대로`. As for the time of first appearance by forms, `은, 도`, and `만` were likely to be learned before 31 months, followed by `다(가), 밖에, 까지, 부터,` and `들`. Second, the factors preceding delimiters were noun phrases, case particles, endings, adverbs, and delimiters (in order),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list and ranking of appearance of combination types by childre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