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9.28.213
18.119.28.213
close menu
KCI 후보
백제 칠지도의 제작 연대 재론: 병오정양(丙午正陽)을 중심으로
Rediscussing the date of Chiljido (七支刀), The Seven-Branched Sword of Baekje
조경철 ( Kyung Cheoul Jo )
백제문화 42권 5-27(23pages)
UCI I410-ECN-0102-2012-910-001010468

칠지도의 제작연대는 태화(泰和)를 중국연호로 보고 369년 5월 16일 병오로 추정해 왔다. 그리고 5월을 새롭게 11월로 판독한 이후에도 여전히 만든 연대는 태화 4년 369년이었다. 그런데 칠지도의 369년설은 5월 16일과 11월 16일이 모두 병오일이 아니므로 문제가 있다. 특히 369년 5월과 11 월에는 병오일이 있다. 5월 27일이 병오며, 11월 30일이 병오다. 따라서 그 달에 병오일이 있는데 그날을 피하여 5월 16일 병오 혹은 11월 16일 병오라 했을 가능성은 적다. 칠지도의 丙午正陽은 『논형』의 丙午日中이나 한 대 명문에 보이는 丙午時加日中의 일중을 정양으로 바꾼 것이다. 일중이나 정양이 `화덕(火德)이 성한 날` 이라는 의미로 별 의미를 부여하지 않았다. 하지만 용례가 보이지 않는 병오정양의 정양은 일중 이상의 의미가 있다. 정양은 『사기』 사마상여전에 나오는 `정양현현(正陽顯見) 각오여증(覺寤黎蒸)` 에서 취한 것으로 황룡을 의미한다. 황룡은 천하의 중심이므로 지상의 최고 통치자를 말한다. 백제의 왕은 칠지도의 정양이란 문구를 통해 자신의 위치를 드러내고 있다. 『논형』이나 한 대 명문에 병오일중을 쓰지 않고 병오정양이라 썼다는 점을 감안하면 칠지도를 만든 연대도 실연대일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칠지도의 제작연대는 11월 16일이 병오인 408년 11월 16일일 가능성이 높으며 그 해는 전지왕 4년에 해당된다. 칠지도 명문의 태화도 중국 연호가 아닌 백제연호로 생각되며 전지왕이 왕위에 즉위하면서 표방한 연호였다.

Chiljido(七支刀, The Seven-Branched Sword) was made in Baekje[百濟], which is one of the ancient kingdoms of Korea. This sword was given to Wa[倭]. It is currently housed in the Isonokami Shrine [石上神宮] in Nara Prefecture, Japan. Up to recently Taewha[泰和] was viewed as the era name of Eastern Chin[東晋] China and regarded Chiljido was made in May 16, 369. But according to gangi[干支] system Chiljido was made in December 16, 408. therefore Taewha[泰和] was not an era of Eastern Chin but an era of Baekje. In fact King Jeunji(r. 405~420) used Taewha to declare his era in celebrating his cornation. Some others say that Baekje has never used an era name. Baekje has not used an era name inWoongjin[熊津] Period and Sabi[泗비] Period, but There was a possibility that Hansung[漢城] Period has used an era name. According to Inscription of Chiljido, Jungyang[正陽] means not only Iljung(日中, at noon) but also a yellow dragon. A yellow dragon is a symbol of am emperor. The fact that Jungyang is a yellow dragon is seen in Sima Qian[司馬遷]`s Shiji[史記]. Therefore Jungyang represents the king`s authorit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