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성격적 통합 모델에 근거한 5요인 성격특성과 청소년들이 경험하고 있는 학업소진과의 관계를 밝혀냄으로써 개인의 성격적 특성이 학업소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생 총 447명을 대상으로 학업소진과 5요인 성격특성을 측정한 후, 다변량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5요인 성격특성 중 외향성, 성실성, 그리고 정서적 안정성이 학업소진의 하위요인인 탈진, 냉담 그리고 학업 무능감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생의 학업소진 중 탈진은 정서적 안정성이, 그리고 냉담과 학업 무능감은 성실성이 가장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함의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academic burnout and personality factors based on Big Five, and to explain which personality factors influenced on academic burnout.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447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multi-variat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s follow: extraversion, conscientiousness, and emotional stability sub-scales of Big Five inventory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exhaustion, cynicism, and academic inefficacy sub-scales in academic burnout inventory. While exhaustion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emotional stability, cynicism and academic inefficacy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conscientiousnes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