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의 발달은 인간의 사회적 진화와 함께 변천되어왔다. 어제의 역사 없이 오늘이 이루어 질 수 없으며, 선현(先賢)들의 개척 없이 오늘날 활발한 창작 활동이 이루어졌다고 생각할 수 없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신무용가 조택원(趙澤元)의 대표작 <가사호접(袈娑胡蝶)>의 무도기록을 통해 나타난 작품의 특징을 연구하였다. 조택원은 한국의 전통춤을 무대 예술로 재구성하여 한국 춤에 예술 정신을 불어 넣어 문화예술의 가치관을 바꾸게 만든 선구자였다. 그리고 무용예술의 사적 흐름을 살펴보면 조택원과 신무용은 따로 분리시켜 다룰 수 없을 만큼 연관성을 가지고 있기에 신무용의 틀 안에서 왕성한 활동력을 보였던 조택원의 대표작 <가사호접>의 무도를 투영해 보았다. 신무용의 개척자 조택원의 <가사호접>은 <승무>에서 착안하여 전통무용을 독특한 창작기법으로 무대화시킨 작품이다. <가사호접>은 주제나 메시지가 뚜렷하고, 우리 고유의 정서를 잘 표현하고 있으며, 대중성 있는 안무법, 연출법, 표현법 등을 활용하여 한국무용 발전에 많은 기여를 했다고 사료되어 본 연구에 임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방법은 문헌자료 즉, 당시의 각종 신문, 잡지 기사, 공연 프로그램, 조택원에 관한 연구 논문, 자서전, 비디오 등을 기본적으로 참고하였으며, 여기에 조택원의 미망인 김문숙(예술원 회원)과 송범(예술원 회원)과의 대담, 그리고 본인이 직접 송범에게 사사받은 경험을 종합하여 작품 <가사호접>을 고찰 분석해 보고, 무도(舞圖)를 그려 보았다. 본 연구는 <가사호접>의 동작 순서를 중점으로 기록하였다. 그리고 차후 <가사호접>을 연구하는데 있어서는, 무용수의 세밀한 신체 부위의 움직임, 움직임의 타이밍, 높낮이, 방향 등에 관한 연구가 계속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development of culture is a transition with social evolution of human being. We cannot consider that the present will be able to exist now without the history of the past and there is no creation activities without the trace of predecessor; therefore, I try to research Gasahojeop in Cho Taek Won as a new generation dancer. He was a forerunner who changed the traditional dance of Korea into the art of stage and inspired the art of spirit in the dance of Korea. Since there is a great relationship between Cho Taek Won and the new dance, I had to reflect upon the picture of dance in Gasahojeop. The Gasahojeop is a product which is staged the creation techniques from the traditional dance in Korea. The production has very clear message and subject. It is also important for us to recognize what is emotion of Korea and very popular method of dance, the manner of performance and how to express itself. The reason why I looked into the production is that I am sure the whole aspect of the production is of very importance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dance. Methods of the research are used by newspapers, journal articles, reviews, brochures and dissertations on Cho Taek Won. The autobiography and the picture of dance were analyzed through Kim, mun-suk, who is his widow, and Song Byem. A limitation of the research is a record only focused on the sequence of Gasahojeop. I hope that there will be a research of which part of dancer is moving, movement timing, high and low, direction presentation through the picture of dance in Gasahoje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