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간헐외사시에서 수술 직전 바골리니렌즈검사로 검사한 망막 대응에 따른 수술결과의 관련성 및 바골리니렌즈검사와 워트4등 및 원거리 B-VAT검사간의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대상과 방법: 간헐외사시환자 114명을 대상으로 수술 전에 바골리니렌즈검사, 워트4등 및 원거리 B-VAT검사를 시행하여 이에 따른 6개월째의 수술결과를 분석하고 바골리니렌즈검사 결과와 워트4등 및 원거리 B-VAT검사결과 간에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결과: 수술 후 5PD 이내의 내사시나 10PD 이내의 외사시인 경우를 수술 성공으로 간주하였을 때 수술 전 융합상태나 입체시에 따른 수술결과를 비교 시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p=0.38, p=0.59), 바골리니렌즈검사결과 정상망막대응을 보인 경우가 이상망막대응이나 억제를 보인 경우보다 수술성공률이 유의하게 높았다(p<0.01). 또한 수술 직전 바골리니렌즈검사결과는 워트4등 및 원거리 B-VAT 검사결과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0.01, p<0.01). 결론: 수술 직전의 바골리니렌즈검사는 수술 성공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이며 수술 전 워트4등 및 원거리 B-VAT검사결과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한안과학회지 2010;51(2):254-258>
Purpose: To determine the surgical outcome of intermittent exotropia according to preoperative retinal correspondence with the Bagolini striated glasses test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Worth-4-dot test or stereoacuity with the B-VAT test. Methods: We analyzed retrospectively preoperative fusion statuses with the Worth-4-dot test, stereoacuity with the B-VAT test and retinal correspondence with the Bagolini striated glasses test to determine any possible relationships with surgical outcome. The surgical outcome and binocular function were further investigated six months postoperatively in 114 patients who had undergone surgery for intermittent exotropia. Results: The surgical outcome according to preoperative fusion status and stereoacuit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0.38, p=0.59). whereas, preoperative retinal correspondence with the Bagolini striated glasses tes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1). More over there was a relationship between retinal correspondence and fusion status or stereoacuity(p<0.01, p<0.01). Conclusions: The preoperative Bagolini striated glasses test was the factor predicting a favorable surgical outcome and there was a relationship between the preoperative Worth-4-dot test and the B-VAT test. J Korean Ophthalmol Soc 2010;51(2):254-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