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35.208.27
3.135.208.27
close menu
}
KCI 등재
괴롭힘을 목격한 주변인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 공감과 공격성을 중심으로
Psychological Factors Influencing Bystanders` Behavioral Reactions to Bullying: A Focus on Empathy and Aggression
오인수 ( In Soo Oh )
UCI I410-ECN-0102-2012-370-000968670

본 연구는 괴롭힘 행동을 목격한 초등학생 1,511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행동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으로 공감과 공격성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112명(7.4%)의 학생이 가해자를 직접적으로 돕는 부정적 행동을 보였고, 91명(6.0%)의 학생이 가해자의 행동을 부추기는 부정적 강화행동을 보였다. 619명(41%)의 학생은 방관적인 중립적 태도를 취하였으며 689명(45.6%)의 학생은 피해자를 보호하기 위한 긍정적 행동을 보였다. 긍정적인 행동반응과 공감은 정적상관을, 공격성은 부적상관을 보였다. 남학생의 경우 정의적 공감이 높을수록, 여학생의 경우 인지적, 정의적 공감이 높을수록 긍정적 행동반응을 보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남학생의 경우 반응적 공격성이 높을수록, 여학생의 경우 선제적 공격성이 높을수록 부정적 행동반응을 보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의 괴롭힘 현상에 대한 심리적 이해와 이에 기초한 효과적 상담 및 중재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current study explored the influence of empathy and aggression on bystanders` behavioral reactions to bullying by investigating 1511 elementary school students. 112(7.4%) students were identified as assistants who helped bullies directly, and 91(6.0%) students were categorized as reinforcers who boosted bullying behaviors. 619(41%) students were identified as outsiders who wanted to stay away from bullying situations, and 689(45.6%) students were recognized as defenders who protected victims. Bystanders` positive behavioral reactions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empathy and negative correlations with aggression. Male bystanders` higher emotional empathy and female bystanders` higher cognitive and emotional empathy significantly predicted their positive behavioral reactions to bullying. In addition, male bystanders` reactive aggression and female bystanders` proactive aggression significantly predicted their negative behavioral reactions to bullying. Implications for effective counseling strategies and educational interventions are discussed and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