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미국에서 태권도 수련 참가에 따른 한국이미지 인식의 차이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과 가설검증을 위해 조사대상자는 2009년 현재, 미국에서 태권도를 수련하는 수련생 650명과 비참가자 550을 무선표집(random sampling)으로 표본을 추출하여 총 1,2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불성실한 자료 40명을 제외하고, 최종 1,16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조사도구로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국가이미지 변인은 Hall(1996)이 개발하고 윤성원(2001)이 표준화시킨 설문지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SPSS Windows PC+ 15.0 Version 통계 패키지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특성변인에 따른 한국이미지 인식에는 부분적으로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태권도 수련유·무와 수련빈도에 따른 한국이미지 인식에는 부분적으로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범국적에 따른 한국이미지 인식에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국방문경험에 따른 한국이미지 인식에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the participation in the Taekwondo affect the formation of Korean images. For the purpose, the researcher collected 650 Taeknowndo participants and 550 non-participants who are residing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is study. A questionnaire on Korean images which was developed and standardized by Hall (1996) was used and the descriptive analysis, one-way ANOVA was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variable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Korean images by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Seco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Korean images by the participation in Taekwondo. Thir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Korean images by the nationality of masters. Lastly,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Korean images by the experience visiting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