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수년간 발생한 홍수피해 원인의 대부분이 하천 제방의 붕괴와 관계하고 있음을 감안하여 제방의 월류 및 붕괴특성을 고려하여 붕괴유량을 산정하고 이에 따라 발생한 홍수파로 인해 제내지에서의 침수위, 침수시간, 침수범위 등을 예측하고 피해예상 규모를 산정하는데 있다. 붕괴유량 산정을 위해서 DEM, 토지피복도, 토양도 등의 기본 GIS자료를 이용하여 수문매개변수를 추출하고 유역의 유출량을 산정하였다. 또한 제내지 내의 구조물의 영향을 고려한 홍수범람을 실시하여 제내지에서의 범람 홍수파의 전파특성을 정확히 예측하고 제내지의 시간별 침수구역의 예측, 홍수위험강도의 산정 등을 통하여 수방 및 홍수피해 경감대책 수립의 판단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In recent years, most of flood damage is associated with the levee failu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flow depths, flood area, flooding time and flood damage through flood inundation analysis considering the overflow of levee and the characteristics of levee failure. The hydrological parameters were extracted from GIS data such as DEM, land cover and soil map to estimate levee failure discharge.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flood wave propagation could be accurately predicted as flood inundation analysis was accomplished considering the affection of structure within protected lowland and hourly prediction of flooded areas and estimation of flood strength will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the flood defence and establishment of measure to reduce flood da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