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난소부전은 40세 이전 여성의 1%에서 발생하며, 무월경, 저성선자극호르몬증, 에스트로겐 결핍 등의 증상을 동반한다. 대부분의 경우 그 병인은 밝혀져 있지 않으나 유전적, 자가면역에 의한 난소손상, 수술이나 항암방사선 치료 등에 의한 의인성, 바이러스 감염이나 약물 등에 의한 환경요인 등으로 알려져 있다. 진단은 40세 이전에 FSH가 폐경 수준으로 증가될 경우 확진할 수 있다. 과거에 비해 악성종양에 관한 항암치료 및 방사선 치료의 치료성적이 높아짐에 따라 더욱 많은 조기난소부전 환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관한 통일된 연구 및 치료방법 확립을 위해 조기난소부전에 관련된 용어의 표준화가 필요하며 진단하고 치료하는 증거중심의 지침 수립이 필수적인 시점이라고 하겠다.
Premature ovarian failure is defined as amenorrhea, hypergonadotropinemia, and estrogen deficiency in women under the age of 40 years, with a prevalence of 1%. In the majority of cases, the underlying cause is not identified. The known causes include genetic aberrations, autoimmune ovarian damage, iatrogenic following surgery, radiotherapy or chemotherapy for malignancies, and environmental factors (viral infections and toxins). The diagnosis is based on the finding of amenorrhea before age 40 years associated with FSH levels in the menopausal range. There is a particularly urgent need to determine the optimum therapeutic hormonal regimens in women with POF, both in terms of immediate symptom relief and for protection against the long-term sequelae of early menopa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