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189.29.43
18.189.29.43
close menu
}
KCI 등재
항 Ro/SS-A 항체 양성인 일차성 쇼그렌증후군 환자에서 침샘 초음파의 유용성
Ultrasonography of the salivary glands in primary Sjogren`s syndrome with positive anti Ro/SS-A antibody
박원 ( Won Park ) , 김영욱 ( Young Wook Kim ) , 권성렬 ( Seong Ryul Kwon ) , 임미진 ( Mie Jin Lim ) , 김환철 ( Hwan Cheol Kim )
UCI I410-ECN-0102-2012-510-001174507

목적: 일차성 쇼그렌증후군은 귀밑샘 및 턱밑샘의 구조적 변화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침샘 침범을 증명하기 위한 방법으로 침샘 초음파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초음파 소견에서 침샘 실질 이상 소견의 정도와 쇼그렌증후군에서 보일 수 있는 여러 가지 임상 현상들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일차성 쇼그렌증후군이면서 항 Ro/SS-A 항체 양성인 30명의 환자군과 일차성 쇼그렌증후군의 증거가 없는 30명의 대조군 환자들을 대상으로 양쪽의 귀밑샘 및 턱밑샘 초음파를 시행하였다. 침샘 실질 불균등성의 초음파 소견은 침샘 후경계의 불분명화, 다발성으로 보이는 고에코의 띠 그리고 다발성 저에코 영역으로 정의하였고, 4단계로 나누었다. 또한 환자군은 항 Ro/SS-A 항체의 역가, 백혈구 수치, 건빵 검사에서의 건빵 용해 시간, 셔머 검사에서 양안의 눈물량과 자극하지 않은 상태에서 침유속량을 침샘 초음파의 실질 불균등성 정도와 비교하였다. 결과: 귀밑샘의 실질 불균등성은 일차성 쇼그렌증후군의 83.3%에서 발견되었으나 대조군에서는 6.7%에서만 보였고 턱밑샘에서는 환자군의 80%와 대조군의 6.7%에서 관찰되었다. 귀밑샘에서 실질 불균등성의 민감도와 특이도는 83.3%와 93.3%이고 턱밑샘에서는 각각 80%와 93.3%였다. 그리고 실질 불균등성 단계의 증가와 쇼그렌증후군의 진단(p-value<0.001) 또는 건빵 검사에서 건빵 용해 시간과의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으나 항 Ro/SS-A 항체 역가와의 연관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초음파 소견에서 침샘 실질 불균등성에 대한 검사자와 관찰자간의 높은 일치도를 보였다(귀밑샘: κ=0.859, 턱밑샘: κ=0.837). 결론: 침샘 초음파는 침샘 실질의 구조적 이상을 잘 관찰할 수 있어서 일차성 쇼그렌증후군의 진단 보조 및 질환의 추적 그리고 침샘 손상의 정도를 파악하는 도구로 매우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Aims: This study sought to evaluate the diagnostic value of salivary gland ultrasonography in primary Sjogren`s syndrome with anti-Ro/SS-A antibody. The secondary goal was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ade of parenchymal inhomogeneity and the anti-Ro/SS-A antibody titer or clinical manifestations. Methods: The parotid and submandibular glands were examined ultrasonographically in 30 patients having primary Sjogren`s syndrome with anti-Ro/SS-A antibody and 30 control subjects with no evidence of Sjogren`s syndrome. The ultrasonographic definition of parenchymal inhomogeneity of the salivary glands was blurred glandular borders, multiple hyperechoic bands, and hypoechoic areas. The parenchymal inhomogeneity of the glands was categorized into four grades. Results: Parenchymal inhomogeneity of the parotid gland was seen in 25 (83.3%) patients with primary Sjogren`s syndrome and 2 (6.7%) control subjects. Of these cases, the submandibular gland showed parenchymal inhomogeneity in 24 (80%) patients with primary Sjogren`s syndrome and 2 (6.7%) control subjects.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parenchymal inhomogeneity of the parotid gland were 83.3% and 93.3%, respectively, and 80% and 93.3% for the submandibular gland. The grade of ultrasonographic parenchymal inhomogeneity was related to a diagnosis of Sjogren`s syndrome (p<0.001) and the time of dissolution of the wafer, but had no relationship with the anti-Ro/SS-A antibody titer. A high degree of interobserver agreement was found in the assessment of parenchymal abnormalities of the salivary gland (parotid gland: κ=0.859; submandibular gland: κ=0.837). Conclusions: Salivary gland ultrasonography is a useful method for visualizing glandular structural changes and making a diagnosis of primary Sjogren`s syndrome. (Korean J Med 77:480-487, 2009)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