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219.53.18
18.219.53.18
close menu
}
KCI 등재
COPD의 치료가이드
Special Review-Updates of COPD : Management of COPD
정기석 ( Ki Suck Jung )
UCI I410-ECN-0102-2012-510-001174456

COPD의 치료는 앞에서 살펴본바와 같이 약물치료와 비약물치료로 나누어 광범위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이 질환에 대한 전세계적인 관심이 지속되고 있고 표준화된 치료지침이 제정되어 있으므로 이에 준한 치료가 바람직하다. COPD를 폐기능 검사를 기준으로 중한 정도에 따라 경증, 중등증, 중증 및 고도중증으로 나누고 각 단계에 따른 치료가 다르기 때문에 분류를 위한 FEV1과 FVC를 측정하는 것이 진단뿐만 아니라 치료의 첫걸음이다. 일단 치료를 시작하면 중단 없이 지속적으로 해야 하고, 재평가를 통해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폐기능의 저하를 최소한으로 하며, 치료에 따른 부작용을 없애는 것이 장기 치료의 목표이다.

The prevalence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in Korea is reported to be 17.5% in aged over 45 years. The overall approach should be individualized and dependent upon the severity of the disease and clinical status of the patient. Objectives of COPD treatment are improvement of airflow obstruction,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co-morbidity and complication of COPD and upgrading in the quality of life. Pharmacologic therapy includes bronchodilators such as beta-2 agonists, anticholinergic and theophylline. Another key pharmacologic agent is glucocorticosteroid which reduces acute exaceerbation and inflammatory burden in COPD airways. Non-pharmacologic management is not less important. Education including smoking cessation, rehabilitation, home oxygen therapy along with appropriate vaccination. More importantly, doctor-patient-patron relationship plays a central role in long-term management of COPD. (Korean J Med 77:422-428, 2009)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