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58
216.73.216.58
close menu
대중문화 형성에 있어서 매스미디어 아티스트의 역할
김진홍
UCI I410-ECN-0102-2012-650-001165338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의 하나인 대중문화는 "주체적 자아의 해체"로 주체가 존재하지 아니하는 문화이다. 그러나 대중문화의 수단인 매스미디어 아티스트는 대중문화 형성의 지배세력으로 주도적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매스미디어 아티스트는 매스미디어를 통해 그들의 의사와 정보를 대중에게 전달하고, 대중은 매스미디어 아티스트에 의해 전달된 의사와 정보를 수용하여 이에 대한 반응을 매스미디어 아티스트에게 귀환한다. 이 대중의 반응에 대해 반응을 매스미디어 아티스트는 다시 그의 반응을 대중에게 귀환하게 된다. 이러한 귀환의 연속적 순환 과정을 거쳐 대중문화는 형성되게 된다. 이 대중문화 형성에 매스미디어 아티스트는 주도세력으로서 기능을 한다. 대중문화는 대량소비에 급급하여 철학적·미학적 근거를 결한 쾌락적·저속적·여흥적 소비문화라는 역기능을 갖고 있다. 이 역기능을 최소화 내지 배제하는 것이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에 있어서 매스미디어 아티스트가 수행해야 할 시대적 사명인 것이다. 그러기 위해 매스미디어 아티스트에게 향락적 소비문화를 극복하는 저축을 미덕으로 장려하는 독창성을 제고하는 창조적 디자인을 하여야 할 사명, 국제문제를 순화하는 민족주체성을 보전하는 디자인을 하여야 할 사명, 등이 부과되고 있다.

The Popular culture is one of the character on postmodernism. The philasophical basis of the post-modernism is "deconstruction of subjective self-consciousness". Therefore, there is no subjects in Popular culture. However the mass-media artists as a dominant force, carry out their main initiative, active, and positive functions in formation of Popular culture. The mass-media artists transfer their intention and information to the popular and then populace feedback their respines to the mass-media artist. Popular culture is consolidated by these continuous feedbacks. The Popular culture has converse effect that contains no aesthetis and philasophical basis the popular culture has only vogulality and inpronptu amusement created by mass consume of date capitalism. In the age of postmodernism, the missions of mass-media artist is to mini... or to exclude the converse effect of Popular culture as mentined abov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