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분열병에서 다른 인지기능에 비해 관리기능에 보다 심한 결손이 있다는 가설을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3개의 독립된 연구에서 수집된 정신분열병 환자 및 정상인 자료를 통합 분석하였다. 관리기능 의존도가 높은 과제와 낮은 과제로 6개의 짝과제(paired task)를 구성하여 통제군과 정신분열병군을 비교하였다. 대부분의 짝과제 분석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통제군에 비해 정신분열병군의 수행이 낮은 정도는 관리기능 의존도가 낮은 과제에 비해 높은 과제에서 보다 심하였다. 둘째, 통제군에서는 관리기능 의존도가 높은 과제와 낮은 과제의 수행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정신분열병군에서는 관리기능 의존도가 높은 과제의 수행이 유의하게 낮았다. 셋째, 집단(통제군, 정신분열병군)과 관리기능 의존도(높음, 낮음)의 상호작용은 유의하였다. 이 결과들은 정신분열병에서 다른 인지기능에 비해 관리기능에 차별적 결손이 있다는 가설을 지지한다. 또한 정신분열병 환자의 뇌에서 전두엽 및 관련 피질하부위에 특히 심한 결손이 있음을 시사한다.
The goal of the present study was to test the hypothesis that schizophrenia is associated with greater deficit in executive function relative to other cognitive functions. To this end, we analyzed schizophrenic and control data from 3 independent studies. We compared performance of schizophrenic and control subjects on 6-paired tests in which one is associated with high involvement of executive function (high EF tests) and the other with low involvement of executive function (low EF tests). There were 3 main findings. First, cognitive deficits of schizophrenic subjects relative to control subjects were greater in high EF tests compared with low EF tests. Second, control subjec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formance of high versus low EF tests, whereas schizophrenic subjects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in high versus low EF tests.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Group (control, schizophrenia) and Involvement of EF (high, low).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hypothesis that schizophrenia is associated with differential deficit in executive function. They also suggest that schizophrenia is associated with deficits in frontal-subcortical circui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