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에서는 한국 청소년의 학업동기가 어떤 양상으로 발달하는 가를 탐색하기 위하여 학업동기에 핵심적인 영향을 미치는 지각된 유능감과 자율성 개념을 중심으로 중학생과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행한 경험적 연구 논문들을 검토하였다. 지각된 유능감은 자기효능감 이론과 기대-가치이론, 자기결정성이론에 기초한 연구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율성은 내재동기이론의 하나인 자기결정성이론에 기초한 연구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들을 종합한 결과, 초등학생시기부터 중학교로 올라가면서 유능감은 감소하다가 고등학교로 가면 약간 증가하거나 변화가 없는 경향을 나타냈다. 자기조절 유형 별로 확인한 자율적 동기 역시 중학생들의 발달 상태가 초등학생에 비해 퇴보된 것과 같은 결과를 보였다. 모든 연령 수준에서 내재동기가 낮고 확인된 조절 동기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무동기 경향이 높아지는 결과가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 논의하고 후속 연구와 교육현장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들에 대해 제안하였다.
In this article, a fairly extensive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depict the current status of academic motivation and its developmental trend among Korean adolescents. The focal factors were perceived competence and autonomy which have been considered as major determinants of academic motivation. Theoretical frameworks adopted were self-efficacy theory, expectancy-value theory, and self-determination theory. Empirical studies conducted in Korean educational settings during the past decade were the target of the literature review. Results of the literature analysis revealed that, in general, there was a decreasing tendency in perceived competence from elementary to middle school which followed by a slight increase after entering high school. Similar trend revealed in the development of autonomous motivation, in that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trinsic motivation levels were lower than that of the elementary groups. The amotivational tendency was increased as the grade level proceeded toward high school, which requires attention from educators. Discussion was followed in an attempt to provide plausible interpretations for this undesirable current status of Korean adolescents` academic motivation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possible remedial actions both in pedagogical perspectives and students` well-be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