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결정이론에서는 기본적인 욕구-자율성, 능력감, 유대감-를 충족시켜주는 사회적 환경에서 성장한 청소년들에게 자기 결정력이 발달하여 공부의 효율성이 높아지고 이에 따라 삶에 대한 만족감이 증가한다고 본다. 본 연구는 자기결정이론의 이련 주장이 한국 청소년에게도 적용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학습장면에서 동기가 형성되고 작동하는 경로를 추적해보았다. 연구 결과, 한국 청소년들에게 자기결정이론은 부분적으로 부합했다. 기본적인 욕구가 충족되면 자기결정력이 발달하고, 자기결정력이 발달하면 학업성취도가 향상되며, 학업성취도가 높아지면 주관적 삶의 질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학업 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자율성을 촉진하는 동시에 타율성을 억제하고 공부에 대한 걱정, 불안감, 경쟁심, 죄책감, 수치심 등을 완화시키는 전략이 필요함을 함의한다. 그러나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자기결정력의 영향은 미미하였고 학업성취도의 영향은 거의 없었다. 즉, 한국에서는 스스로 공부하고, 성적이 좋은 학생들의 삶의 질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더 나은 것은 아니었다. 한국 청소년의 삶의 질, 학업성취도 및 학습동기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이들은 부모, 교사, 친구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능력감을 맛보며, 자율적인 삶을 살 필요가 있어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learning motivational process models,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SDT) in academic settings. I examined if SDT`s assumptions would fit for Korean adolescents, using a learning motivation scale(LMS), Basic Needs-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Satisfaction Scale(BNSS), academic grades and life-quality scales, and also tried to search for the adequate motivational process models for Korean adolescents through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Basic needs satisfaction influences positively on the development of self-determinative motivation, which influences positively on academic achievement. But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determinative motivation doesn`t always influence on subjective well-being positively. And Korean adolescents who study autonomously or achieve good grades, are not better in a dimension of subjective well-being than others. Basic needs satisfaction while growing is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variables to improve adolescents` autonomous motiva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subjective life qua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