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저지방/저염 돈육 모델 소시지 제조에 있어서 transglutaminase(TG, 1.0%)와 sodium caseinate(SC, 0.5%)의 첨가와 0.3%의 도토리 또는 녹두 가루의 첨가가 가열 처리한 최종 제품의 이화학적 및 조직학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제조된 저지방/저염 돈육 모델 소시지는 TG와 SC 첨가에 의해 pH가 높아지고, 수분 함량 및 명도가 낮아졌다. 한편, 저지방/저염 돈육 모델 소시지의 보수성과 조직감 측정 결과에서는 TG와 SC 첨가가 유리수분량에 영향을 주지 않은 반면에, 제품 수율은 감소되었으며, 소시지의 모든 조직감은 증진되었다. 도토리 또는 녹두 가루 첨가에 의한 소시지의 보수성 및 조직감의 변화는 도토리나 녹두 가루 첨가 모두 저지방/저염 돈육 모델 소시지의 수율을 상승시켰으며, 보수성 또한 증진시켰다. 특히 녹두 가루 첨가는 도토리 가루 첨가보다 더 높은 보수성 효과를 나타냈다. 반면에, 도토리나 녹두 가루의 첨가는 소시지의 씹힘성의 증진을 제외한 다른 조직감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TG와 SC의 첨가는 저지방/저염 돈육 제품의 조직감 향상에 매우 효과적인 반면에 도토리나 녹두 가루의 첨가는 TG와 SC의 첨가에 의한 보수성의 저하를 보완하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Low-fat pork sausages (LFPS) were prepared with 1% transglutaminase (TG) and 0.5% sodium caseinate (SC), and with or without different type of hydrocolloids (0.3%; acorn, AC or mungbean, MB)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se ingredients on the physicochemical and textural properties of LFPS with reduced salt. pH, moisture content (%) and lightness of low-fat/salt pork sausages (LFSPS) were affected by the addition of TG combined with SC (TG-SC) and acorn or mungbean powders affected the lightness and yellowness of LFSPS. However, cooking yield of LFSPS decreased, while textural properties were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TG-SC combination, which did not affect expressible moisture contents (%) of LFSPS. Both AC and MB tended to improve the cooking yield and water holding capacity of LFSPS, especially, MB rather than AC. However, these had no effect on the textural properties of LFSPS, except for textural chewines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AC and MB powders could be used as a water binding agent in TG-SC combination of LFS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