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에서 24세까지의 대학생을 중심으로 그들의 병력을 바탕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식품알레르기의 발생경향을 조사하고, 알레르기 경험자의 혈청을 이용하여 식육알레르기의 원인 알레르겐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자 중 11.33%가 어떤 형태의 식품알레르기를 경험하였고, 그 원인식품으로는 생선, 우육, 계육, 유제품, 난류(계란), 돈육 순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식육에 대한 알레르기를 경험한 대상자의 비율은 전체의 4.65% (우육 2.33%, 계육 1.66%, 돈육 0.66%)를 차지하였다. 이 중 가장 발생빈도가 높은 우육에 대한 원인 알레르겐 조사를 위해 설문조사에서 우육에 대하여 과민반응을 경험하였다고 응답한 대상자 6명의 혈청을 이용하여 원인 알레르겐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ELISA를 이용한 항원성의 검사결과 우육에 특이적 반응성을 보인 대상자의 혈청과 우육추출물을 이용하여 원인 알레르겐을 조사하였다. Western blots 결과에서 PVDF membrane 상에 대상자의 혈청과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2개의 밴드가 관찰되었다. 표준단백질 middle range marker를 이용한 전기영동상 이동거리비교에서 이들의 분자량이 67 kDa과 31 kDa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N말단 아미노산서열 분석결과로부터, 67 kDa은 지금까지 중요한 우육알레르겐의 하나로 알려진 BSA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31 kDa은 지금까지 보고가 없는 새로운 잠재적 우육알레르겐인 것으로 보인다. 31 kDa 분자는 N 말단 아미노산서열 분석이 어려웠다. PAS염색결과 아미노산 서열분석이 어려운 이유는 31 kDa 분자가 당쇄로 수식되어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되며, 앞으로 31 kDa 분자에 대한 이화학적 및 물리적인 특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지금까지 식육에 대한 알레르기 발생경향 및 식육알레르겐에 관한 연구보고가 국내에서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본 연구는 식육알레르기 연구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revalence of food allergies was investigated using questionnaires with 300 subjects whose ages ranged from 19 to 24 years old and the causative food allergens was analyzed using immunological analysis with serum of the subjects who answered that they have/had food allergy. The questionnaire showed that 11.33% of subjects have/had experience of food hypersensitivity, where the main causative foods were fish, beef, chicken, milk, egg, and pork in order. The meat allergy shared 4.65% (2.33% for beef, 1.66% for chicken, 0.66% for pork) in the prevalence of food allergies. The causative beef allergens were investigated with the serum of 6 subjects who have had beef allergy. Western blots were carried out with the serum of P6 subject who showed a positive reaction to beef extract in ELISA. The two specific bands were detected in beef extract on the PVDF membrane, and no band was detected in extracts of pork and chicken. A calculation of the distance of migration by SDS-PAGE enabled the molecular masses of the two bands to be estimated as 67 kDa and 31 kDa, respectively. The 67 kDa was revealed as bovine serum albumin (BSA) which is one of the important beef allergens as reported previously though an analysis of the N-terminal amino acid sequence. However we could not identify the sequence of 31 kDa, probably because they comprised several subunits and were modified proteins such as glycoprotein that were unlikely to be easily degraded by the Edman method. The 31 kDa band were dyed with the PAS (periodic acid-schiff reagent), suggesting that it might be a glycoprotei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31 kDa might be considered as a novel potential beef allergen which is not reported previously, although further studies are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