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척수손상 환자에서 신경인성 방광은 잘 알려져 있으나 신경인성 장은 체계적인 연구가 부족한 편이다. 이에 저자들은 척수손상 환자에서 척수손상의 정도와 위치에 따른 항문직장 내압검사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신경인성 장의 증상을 가지고 있는 25명의 척수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항문괄약근 휴식압, 압착압 및 직장항문억제반사, 직장 감각능, 배변을 시도할 때 직장과 항문의 압력변화 등을 측정하였다. 결과: 완전 척수손상과 불완전 척수손상 환자군 및 T5 이상과 T6 이하 척수손상 환자군 사이에 최대 항문괄약근 휴식압, 최대 압착압, 항문직장억제반사를 유발하는 최소부피는 차이가 없었다. 완전 척수손상 환자군에서 불완전 척수손상 환자군에 비해 배변감(p =0.041)과 긴박한 배변감(p=0.047)을 느끼는 최소용적 및 최대인내용적(p=0.047)을 측정할 수 없는 경우가 의미있게 많았다. 그러나, T5 이상과 T6 이하 척수손상 환자군 사이에 직장 감각능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전체 척수손상 환자군에서 배변을 시도할 때 최대 직장압, 항문괄약근 이완율, 배변지수는 모두 정상범위 이하로 감소되어 있었다. 완전 척수손상과 불완전 척수손상 환자군 사이에 최대 직장압, 항문괄약근 이완율, 배변지수의 차이는 없었으며, T5 이상과 T6 이하 척수손상 환자군 사이에 최대 직장압과 배변지수는 차이가 없었으나 항문괄약근 이완율(-1.7±25.8% vs.22.7±18.4%)은 T5 이상 척수손상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었다(p=0.046). 결론: 완전 척수손상 환자에서 외항문괄약근의 기능이 감소되어 상대적으로 변실금을 더 많이 호소하며, T5 이상 척수손상 환자에서 배변을 시도할 때 직장압력의 상승에 따른 항문괄약근의 유기적 이완이 되지 않아 변비를 더 많이 호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Background/Amis: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anorectal manometry based on the level of spinal cord injury (SCI) in patients with neurogenic bowel. Methods: Twenty five patients with SCI were classified as complete or incomplete lesions according to severity, and ≥T5 or ≤T6 SCI according to the level of injury. We measured the maximum anal resting pressure (MARP), maximum squeezing pressure (MSP), threshold of rectoanal inhibitory reflex (RAIR), rectal sensations, and intraluminal pressure changes while patients were bearing down. Results: In patients with SCI the MARP, MSP, and RAIR were: 77.8±41.9 mmHg, 92.4±53.5 mmHg, and 26.0±14.1 mL respectively. In patients with complete lesions, the MSP/MARP and minimal volume for the RAIR were lower than in the patients with incomplete lesions (p=0.030, p=0.039 respectively). Rectal sensations were affected more frequently and completely in patients with complete lesions than in patients with incomplete lesions. Bearing down in patients with ≥T5 SCI was associated with a higher percentage of decreased anal relaxation than in those patients with ≤T6 SCI (-1.7±25.8 mmHg and 22.7±18.4% respectively). Conclusions: Patients with SCI had abnormal findings on anorectal manommetry. Patients with complete lesions had decreased voluntary contractions of the external anal sphincter resulting in fecal incontinence. In addition, patients with ≥T5 SCI had paradoxical contractions or inadequate relaxation of the internal anal sphincter when bearing down resulting in more severe constipation.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9;15:5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