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고령 환자의 대퇴 전자간부 불안정성 골절의 치료 -압박 고 나사를 이용한 내고정술과 시멘트 양극성 반치환술의 결과 비교-
Treatment of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 in Elderly Patients -Comparison between the Results of Internal Fixation Using Compression Hip Screw and Cemented Bipolar Hemiarthroplasty-
박명식 ( Myung Sik Park ) , 정우철 ( Woo Chul Jung ) , 박혁 ( Hyuk Park ) , 황병연 ( Byung Yun Hwang ) , 임영진 ( Young Jin Lim ) , 정명국 ( Myung Guk Jung ) , 조홍만 ( Hong Man Cho )
UCI I410-ECN-0102-2012-520-000351599

목적: 골다공증을 동반한 고령 환자에서 대퇴 전자간부 불안정성 골절의 압박 고 나사못을 이용한 내고정술과 시멘트 양극성 반치환술을 시행한 집단의 임상적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6년 10월까지 대퇴 전자간부 불안정성 골절로 수술을 시행한 60세 이상 환자 중 2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환자 73예를 대상으로 하였고, 시멘트 양극성 반치환술을 시행한 환자 34예를 A군, 압박 고 나사를 이용한 내고정술을 시행한 환자 39예를 B군으로 분류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수술 중 출혈량 및 수술시간을 분석하였고, 술 후 임상 결과와 합병증을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중 출혈량 및 수술 시간 모두 두 군 간 통계학적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 임상 결과는 일상생활 기능 평가에서 A군에서의 결과가 더 양호하였다. A군에서 고관절 탈구 1예, 대전자부 불유합 1예, 감염 1예, 대퇴스템의 해리 1예를 보였으며, B군에서는 8예에서 고정물 실패와 1예에서 수술 부위 감염을 보였다. 결론: 골다공증을 동반한 고령 환자의 대퇴 전자간부 불안정성 골절 치료 시 시멘트 양극성 반치환술의 단기 추시 결과는 우수하였지만, 인공관절 수명을 고려해본다면 장기간의 추시가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Purpose: To perform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results of internal fixation using compression hip screw and cemented bipolar hemiarthroplasty in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 in elderly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1 to October 2006, we reviewd 73 patients, who were treated surgically for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s, with a minimum of 2 years follow up. The patient`s age was older than 60 year old.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evaluated, retrospectively. One group was treated with cemented bipolar hemiarthroplasty (Group A, 34 cases), and the other group was treated with compression hip screw (Group B, 39 cases). We evaluated the amount of intraoperative bleeding, operative time, clinical results and complications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The amount of intraoperative bleeding and operative tim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the two groups. Group A showed a better result than Group B for clinical outcome using Johnson Daily Activity of Life. Complications in the group A were comprised of dislocation (1 case), nonunion of greater trochanter (1 case), infection (1 case) and loosening (1 case), and those in the group B were comprised of loss of fixation (8 cases) and infection (1 case). Conclusion: We found that short-term outcomes of cemented bipolar hemiarthroplasty for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s were satisfactory. However, a longer-follow up period is necessary to clarify the efficacy of cemented bipolar hemiarthroplast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