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이론적인 측면과 개념의 형성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진보와 보수`, `좌파와 우파`를 정의해보려는 데에 목적이 있다. 물론 이 개념의 이론적 기반을 이루게 한 서구의 역사와 경험, 전통이 우리 사회의 그것과는 다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용어들의 근원을 살펴보고 통시대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개념화 작업을 함으로써 한국 사회에서의 정치적 이념성향의 위치를 보다 명확히 규정하고 진보-보수, 좌파-우파의 대립이 소모적인 범주를 벗어나 생산적 범주로 승화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진보와 보수는 어떤 특정의 정치적 이념이나 가치의 내용과는 무관하게 사회적 변화의 포괄적이고 빠른 진행에 대한 수용태도와 그러한 변화를 수행하는 주체로서의 인간의 이성과 자유의지에 대한 믿음의 정도에 따라 구분된다. 반면에 좌파와 우파는 현존하는 지배적인 이념과 제도를 비판, 극복하고자 하는가 아니면 옹호 하는가로 구분되며, 각 특정의 역사적 시대에서 그 시대의 지배적인 이념 그리고 이에 대한 대항 이념을 통해 각각 구체적인 자신의 주의(主義)를 획득한다.
This article is based on the attempt to define `Progress & Conservation` and `Leftist & Rightist` focusing on theories and developing process of the concepts. It sure is true that western and we share different history, experience and tradition which are the vital bedrocks for evolvement of theories. Nevertheless, I am convinced, through the process that we will be able to have productive rather than exhausting confrontations between Progress and Conservation, also Leftist and Rightist, together with clarifying the propensity of ideologies in Korean society by a) searching for origins of terminologies and b) generalizing them for further use. In conclusion, the division between Progress and Conservation is coming from a demeanor in accept and a degree of faith in men without regarding a certain political ideology or value; a) `demeanor in accept`, that concerns inclusive, rapid progress of social changes b) `degree of faith in men`, that concerns a rationality and free will of men who effectuate those social changes. On the other hand, the division between Leftist and Rightist comes from whether one is either supporting or criticizing/overcoming existing policies; in each period of time, one obtains own doctrine based on a ruling or opposing ide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