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물 용출 스텐트의 개발로 관상동맥 협착증의 치료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현재 DES가 많은 상황에서 기존의 BMS를 대체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관상동맥 중재시술자들은 점점 더 어렵고 힘든 병변을 수술없이 중재시술을 통해 해결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DES 삽입 후 스텐트 혈전증의 위험성이 증가한다는 보고들과 함께 안전성에 대해 우려가 있는것도 사실이다. 실제 스텐트 혈전증의 빈도가 매우 낮음에도 불구하고 한번 발생하면 대다수에서 치명적이라는 사실 때문에 임상가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ST의 여러 aspect에 대해 논란이 존재하고 있고 실제 ST에 대한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정의도 최근에서야 ARC에 의해 주창되었다. 스텐트 혈전증에 대한 위험인자, 병태생리에 대한 지식과 이해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형편이고 특히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들에 대한 연구도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논란과 더불어 지식이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ST에 대한 몇 가지 사항들에 대해서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비슷한 것으로 생각된다: 1) ST의 전체 빈도는 BMS와 DES간에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지만, DES의 경우 BMS에 비해 후기 ST의 위험성이 약간 증가한다; 2) 전반적으로 ST의 발생 빈도는 매우 낮으나 그 결과는 치명적일 수 있다; 3) 여러 종류의 위험인자가 ST 발생에 관여할 수 있고 ST의 임상적, 시술적 위험인자 뿐만 아니라 유전적 위험인자까지 정확히 규명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4) 향후 장기 안전성을 극대화 하기 위해 DES 디자인의 개선과 약물 치료법의 발전이 요구된다.
Although drug eluting stents (DES) have mostly replaced bare metal stents (BMS) for the treatment of coronary artery stenosis, concern has been raised regarding the possibility of increased stent thrombosis after DES implantation. Despite the relative low frequency of ST, it is of intense interest to clinicians because of its high morbidity and mortality. There is much controversy regarding many aspects of ST and only recently has there been a unified definition of ST proposed by the Academic Research Consortium. We are in need of much more knowledge and insight into the risk factors and pathophysiology of ST as well as what can be done to overcome ST. However, investigators do agree on a few points based on various clinical trials, registry reports, and meta-analyses: 1) The frequency of ST does not seem to differ between BMS and DES, although DES seems to be slightly more prone to late ST; 2) The incidence of ST is very low but its consequences are potentially fatal; 3) several risk factors may be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ST and more studies are required to more accurately elucidate the clinical, angiographic, procedural, and maybe genetic risk factors of ST; 4) improvements in DES design along with better adjunctive drug treatment are required in the future to improve long term safety. (Korean J Med 75:383-391,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