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0
18.97.9.170
close menu
새 학교문화 창조와 교수-학습의 질적 개혁
Rethinking the Meaning of Teaching and Learning : Making New School Culture
허숙(Sook Hur)
UCI I410-ECN-0102-2009-370-009588951

교육부는 다가오는 21세기의 사회 변화에 대응하는 국가적 차원의 교육개혁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학습자의 창의력 신장과 인성교육을 내실화하는 방향으로 초 중등교육을 정상화하기 위하여 "새 학교문화 창조"라고 하는 교육실천 운동을 제창하였다. "새 학교문화 창조"라고 하는 교육개혁을 위해서는 교수-학습의 개혁이 필수적이며, 이는 그 동안 우리 학교의 교실을 지배해 오던 몇 가지 논리를 성찰하고 새로운 사고와 관점을 갖는 것으로부터 시작될 수 있다. 본 고에서는 교실 수업에서 다시 생각해 보아야 할 몇 가지 문제로서 ① 교수-학습에 대한 좁은 이해, ② 교과서에 대한 맹신, ③ 교수-학습에 대한 좁은 이해, ④ 학생들의 능력 차에 대한 미신을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문제의 바탕에 내재되어 있는 기본 논리로서 ① 통제의 논리, ② 경쟁의 논리, ③ 효율성의 논리를 지적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 "새 학교문화의 창조"의 교육개혁 노력이 진정한 교실개혁으로 이어지기 위한 과제로서 몇 가지 명제들을 분명히 하였다. 그것은 ① 교육은 학생들의 삶에 의미를 주어야 한다, ② 수업은 개별화의 단계를 넘어 개인화의 방향으로 심화되어야 한다, ③ 교육의 최종 평가권은 교사에게 돌려주어야 한다, ④ 교사를 믿어야 한다, ⑤ 교육개혁은 교사에 의해 주도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advocated an educational reform movement called "Making New Culture in Schools." The movement emphasizes the cultivation of creativity and morality for students through individualized instruction, experiential learning, authentic evaluation, and professionalism in teaching. But the most striking aspect of educational reform is concerned with the teachers` curriculum implementation role. Without any change in teachers` view of teaching and education, it is difficult to expect any improvement of reform in education. Still many teachers have some mythical beliefs on curriculum, textbooks, teaching, and evaluation. At the bottom of this kind of beliefs, we can find some concepts like control, competition, and effectiveness. As a result of reflection on education reform, some directions educational reform movement must follow are suggested. They are: ① curriculum implementation must be based on meaning-making for students, ② educational practices must be personalized according to the students` personal meaning, ③ school teachers must have the right of final evaluation for their students, ④ we have to give whole reliance on teachers, and ⑤ educational reform movement should be initiated by school teacher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