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1
18.97.9.171
close menu
학교 교육에 있어서 ' 자기주도 학습 ' ( self-directed learning ) 의 의미
The Meaning of ' Self-Directed Learning ' in Schooling
소경희(Kyung Hee So)
UCI I410-ECN-0102-2009-370-009589014

최근의 교육 개혁 움직임과 관련하여 학교 교육 현장에서 가장 핵심적으로 부각되고 있는 것은 `자기주도 학습`이라는 개념이다. 이에 따라 학교 교육 현장에서는 `자기주도 학습`을 실현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고심하고 있다. 그러나 많은 경우 일선 학교나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자기주도 학습`에 대한 의미는 그다지 분명하지 않다. 즉 자기주도 학습은 학생이 주도하는 학습, 보다 구체적으로는 탐구나 토론을 하는 학습 정도로 이해되고 있는 형편이다. 이 점에서 본 연구는 학교 교육에 있어서 자기주도 학습의 의미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자기주도 학습은 학습자 개인의 인성적인 측면, 교수-학습 전략적 측면, 사회적 측면 등을 모두 포괄한 개념이며, 이중 어느 한 가지에 그 의미를 제한시키는 것은 자기주도 학습의 의미를 제대로 파악한 것이라 할 수 없다는 점이다. 둘째, 자기주도 학습에서 강조하고 있는 자기주도 학습 능력이라는 것은 학생들마다 그 정도가 다르며, 그러한 자기주도성은 교사의 적절한 수업 설계에 의해서 점차적으로 신장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론이 우리 학교 교육에 시사하는 바는, `모든`학습자에게 자신의 학습을 주도하도록 하는 수업 전략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이다. 학교 교육은 학습자의 자기주도성의 정도에 따른 수업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자들이 그들의 학습에서 점차적으로 자기주도적인 학습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하며, 학교 교육에 있어서 자기주도 학습의 의미는 바로 여기에 있다고 할 수 있다.

`Self-directed learning` is one of the key concepts emphasized in recent school refor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self-directed learning in schooling.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eaning of the term `self-directed learning` encompasses a personal quality of the learner,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and factors within the social context. (2) Different students have different abilities to be self-directed, and self-direction of the learner can be gradually advanced by good teaching. Based on the conclusion, a implication on schooling can be suggested. Fully self-directed learning is not possible in an institutional setting, school. Therefore, the meaning of self-directed learning in schooling can be defined as follows. That is, teaching in schooling must match to each learner`s level of self-directon, and help the learner advance toward greater self-direct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