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82
216.73.216.182
close menu
이상동몽(異床同夢)?: 북한-중국 경제관계의 정치사회적 조건과 전망
Different Beds, One Same Dream?: The Sociopolitical Conditions and Prospect for North Korea-China Economic Relations
장경섭 ( Kyung Sup Chang )
현대사회와 문화 27권 63-81(19pages)
UCI I410-ECN-0102-2012-410-000258138

사회주의 단계의 북한과 중국 경제는 스탈린식 도시중공업 체제를 공유하는 공통점을 가졌으나 국가경제 전체의 구조로 보아 그다지 동질적이지 않았다. 그렇다고 양국의 경제적 차이점이 상호간의 보완적 경제관계를 요구하는 것도 아니었다. 북한과 중국은 소련에 대한 경제체제적 대외의존성 및 자본주의권과의 집단적 체제대결에 따른 정치적 상호 결속성이 중요했지만 그렇다고 각자의 경제문제 해결에 있어 상호간의 협력이 결정적으로 중요했던 것은 아니다. 북한과 중국의 이러한 경제적 분절성은 사회주의 경제체제의 위기를 체제 보완의 차원에서 극복해 나가는 이른바 개혁의 국면에서도 마찬가지의 상호 결절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북한과 인접한 중국의 이른바 동북3성(길림성, 요녕성, 흑룡강성)은 전통적인 중공업기지로서 중국 내에서도 가장 북한과 유사한 "러스트 벨트"(rust belt)를 형성함으로써, 북한에게 경제적 탈출구를 열어주기는커녕 스스로의 산업구조상 위기조차 극복하지 못해 정치·사회적으로 요동치고 있다. 그동안 동북지역의 일부 중국기업들이 북한내 광물개발, 유통시장, 건설업, 관광업 등에 진출해 온 것이 사실이지만, 이는 양국 경제관계의 본격적 시발이라기보다는 그 전조 정도로 이해되어야 한다.

While both North Korea and China used to have the Stalinist heavy industrial system, their national economic structures were quite dissimilar. Such different structures did not result in mutually complementary economic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It was true that they were commonly dependent upon the international economic system led by Soviet Union, and that their mutual political solidarity was crucial in the collective struggle against the hostile capitalist West. In solving imminent economic problems, however, their cooperation with each other was not decisively important. Such economically disjointed relationship between them has not been fundamentally altered in the so-called reform period. Despite frequent political statements and widespread scholarly judgements, Chinese reform has not become a forceful model for North Korea`s present and future. In particular, China`s three Northeastern provinces bordering North Korea (i.e., Jilin, Liaoning, Heilongjiang) ironically confront the basically same economic structural problem-namely, extreme economic concentration in defunct heavy industries. In this sense, China has been more an omen than a model for North Korea. The sporadic investment of Northeastern Chinese enterprises in the mineral, marketing, construction, and tourism sectors of North Korea appears to be a mere precursor to a more vibrant economic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rather than its direct evidenc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