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이민여성으로 구성된 다문화가족이 점차 증가하는 상황에서 이들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서비스와 프로그램이 실시되고 있다. 또한 2008년도에는 다문화가족지원법이 제정되어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의 근거 법도 마련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족 지원정책 및 서비스를 유형화하기 위해 젠더와 문화통합이란 두 가지 변수를 사용하고자 한다. 우선, 젠더에 관한 관점을 가부장주의적 관점과 성 인지적 관점에서 검토하고, 문화통합에 관한 관점을 문화 동화적 관점과 문화 양립적 관점에서 검토한다. 그 후 `젠더`와 `문화통합`의 두 변수를 결합하여 `가부장주의적-문화 동화적 정책`, `가부장주의적-문화 양립적 정책`, `성 인지적-문화 동화적 정책`, `성 인지적-문화 양립적 정책` 등 네 가지로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을 유형화하여 각 유형에 속하는 다문화가족 지원정책 및 서비스를 찾아본다.
The supporting policies and services for multi-cultural families composed of married immigrants are increasing in Korea. To develop a framework for categorizing the supporting policies for these multi-cultural families, the theoretical perspectives of `gender` and `cultural integration` are reviewed. By crossing two variables (gender and cultural integration), there can be 4 types of po1licies for married immigrants: patriarchal-culture assimilative policies, patriarchal-culture compatible policies, gender sensitive-culture assimilative policies and gender sensitive-culture compatible poli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