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0
18.97.9.170
close menu
Accredited
성폭력 가해자의 수강명령과정에 대한 근거이론 접근
An Approach Based on Grounded theory about the attendance center order`s Experience of Sexual Offenders
정여주 ( Yeo Joo Jung ) , 임재현 ( Jae Hyun Lim )
UCI I410-ECN-0102-2012-470-000155672

본 연구는 성폭력 가해자들의 수강명령과정에서의 경험을 규명하고 설명하는 실체이론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수강명령에 참여하고 있는 성폭력 가해자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질적 연구 방법 중 Strauss & Corbin(1998)이 제시한 근거이론 방법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연구 참여자들과의 심층면담을 통해 얻은 원 자료를 이론적 민감성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개방코딩 한 결과 총 12개의 범주와 25개의 하위범주, 144개의 개념을 추출하였다. 이를 요약해 보면, 중심현상을 일으킨 인과적 조건은 `담을 수 없는 잘못`이며, 참여자들의 경험에 대한 중심현상은 `안개 속에서 길 찾기`로 나타났다. 이에 영향을 미친 맥락적 조건은 `나만의 책임이 아님`, `코에 걸면 코걸이, 귀에 걸면 귀걸이`, `진흙탕에 빠짐`의 세 가지였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촉진시키거나 억제하는 중재적 조건은 `잊혀진 시간을 되새김`, `피해자에 대한 인식`, `성인식 제고`였으며, 결과는 `상처가 치유되길 바람`, `새로 태어난 마음`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ttendance center order`s experience of sexual offenders. This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by in-depth 10 interviews with sexual offenders. As for data analysis on this qualitative study, the grounded theory suggested by Strauss and Corbin(1998) was used. The raw data collected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were analyzed by the open coding, combined with theoretically sensitive and constant comparisons method. As a result, a total of 12 categories, 25 subcategories and 144 concepts were generated. In summary, the causal condition that caused the core phenomenon was `It is no use crying over spit milk.` The core phenomenon that sexual offenders experience during the process of attendance center order was `seek for a way in a dense fog.` The contextual condition that affected the outcome was `hold a person accountable for,` `It differs with the circumstances,` and `get face with difficult.` The intervening conditions that promote or restrain action/ interaction on core phenomenon were `chewing over the forgotten time,` `recognition for a victim` and `raising the gender recognition.` As a result, two concepts such as `hope for get over` and `It was like being born again` were assum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