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안재원 역, 키케로의 수사학. 말하기의 규칙과 체계 (도서출판 길, 2006. 9.)에서 법정연설을 다룬 부분을 예시적으로 골라서 법률용어의 역어 및 번역의 적정성이라는 점에서 검토한 촌평이다. 검토의 결과는 매우 심각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 국역본은 ① 법률용어의 이해에 있어 상당한 정도의 오류를 보였고, 심지어는 수사학 용어도 많은 경우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고, 또 ② 문장의 번역에 있어서도 언뜻 보면 그런 대로 읽힐 만하게 번역된 것 같은 인상을 주지만, 기실은 엄밀성과 정확도가 의외라고 할 정도로 미진하며, ③ 번역의 底本으로 삼은 원문 텍스트의 讀法과 관련해서도 반드시 최선의 것을 선택했다고는 생각되지 않고, ④ 수사학 관련 전문용어의 역어 선택에 있어서도 과연 성공적이라고 말할 수 있을지 의문이 들 뿐만 아니라, ⑤ 역주도 본문의 이해에 정말로 필요한 내용을 모두 충실히 제공했는지 재점검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적어도 이 글에서 다룬 부분들만이라도 조속한 시일 내에 완전히 새로 번역해서 어떤 방식으로든 독자들에게 그 수정본을 제공해야 마땅할 것이고, 다른 부분들도 東西古今의 先學들의 성과를 두루 참조한 가운데 보다 겸허한 자세로 보다 신중하게 재검토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This article is a short review of the newly published Korean translation by Jae-Won An of Cicero`s Partitiones oratoriae (September 2007). Its aim is very limited, for it surveys only that part of the book which concerns legal controversies (status legales). The translator tries, in principle, to express in common Korean, but this attitude leads him very frequently to a translation that is technically not precise enough and thus incorrect. His understanding of the Roman legal terms as well as rhetorical termini technici seems to be surprisingly poor and sometimes even defective. To make the matter worse, his translation of the latin sentences which include nothing special in terms of vocabulary and sentence structure is, generally speaking, very often perverting the meaning and thus estranging readers from Cicero`s original intent. The additional explanations given in the translator`s notes, too, are now and then incorrect. His Korean counterparts for latin rhetorical terms, often not uniform and inaccurate, did not always satisfy the common postulates in the word-formation as well as the general standards for the technical terminology. As a matter of fact, this judgement does not touch the whole of the book, but it apparently suggests that these traits might also hold true for the rest of the book. It must be, therefore, energetically stressed for him to renew the translation as soon as possi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