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해 첫째, 가출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고, 둘째, 해결 중심 가족 상담과 해결 중심 기독교 가족 상담의 원리와 특성을 비교분석하며, 셋째, 사례를 통해 해결 중심 기독교 상담을 적용해 보았다. 가출 청소년의 연령은 점점 어려지고 있고, 상습적이며 장기화되고 있다. 청소년 가출의 원인이 어디에 있든지 청소년 가출은 용납할 수 없는 문제 행동이라는 관점에서 벗어나 수용할 수밖에 없는 행위로 인정하는 것이 필요하며, 가족 상담이 우선되어야 한다. 해결 중심 기독교 가족 상담은 해결 중심 가족 상담이 사용하는 다섯 개의 질문, 구체적 목표 설정, 내담자 가족의 강점과 긍정적인 측면 끌어내기, 메시지 전달 등을 적절히 활용하고 있다. 해결 중심 기독교 가족 상담은 주의 깊은 경청과 상담 트랙 질문을 통해 가족의 변화 과정을 탐색하고 명확한 비전 구축을 하도록 돕는다. 하지만 해결 중심 기독교 가족 상담은 문제해결을 위해 필요한 모든 자원을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이미 가지고 있으며, 내담자 가족으로 하여금 성령의 역사 즉, 과거의 은혜 사건, 장점과 예외적인 상황들을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담자 가족을 새로운 길로 인도한다는 면에서 해결 중심 가족 상담과 차이가 있다. 해결 중심 기독교 가족 상담을 적용하여 가출 청소년을 상담한 사례에서 상담자는 청소년이 왜 가출을 하게 되었는지, 가출해서 무엇을 했는지, 가출을 어떻게 중단할 수 있는지, 또는 가족이 실패한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초점을 맞추지 않았다. 대신 가출 청소년 가족이 일상생활에서 성공했던 여러 가지 작은 경험을 근거로 가출 청소년 가족의 잠재능력을 인정하고 기적질문을 통해 해결된 미래를 구체화하며 예외를 찾아내어 가출 청소년 가족의 강점을 강화하고, 가출 청소년 가족이 시도해 온 해결방안에 초점을 두었다. 메시지를 통해 가출 청소년 가족에게 적절한 성경 말씀과 은혜의 사건을 상기하도록 하였으며, 실천할 수 있는 작고 쉬운 과제를 제시하였다. 해결 중심 기독교 가족 상담이 가출 청소년 가족의 부정적인 경험을 인정하지 않고 해결이 강요된 상담이 될 수 있다는 비판도 있다. 앞으로 가출 청소년에 대한 해결 중심 기독교 가족 상담의 효과를 실제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By the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firstly explain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runaway youths, secondly compares and analyzes solution-focused family counselling and solution-focused Christian family counselling, and thirdly presents cases in which the solution-focused Christian counselling is applied. The age of runaway youths is becoming lower, and their patterns of behaviour are becoming habitual and prolonged. Regardless of the reasons why they choose to leave home, we must start from the viewpoint that such behaviour is problematic, but also to acknowledge that it can be typical and acceptable behaviour among some of our youth. Solution-focused Christian family counselling, through attentive listening and counselling track questions, explores the process of change in families and helps them to construct a clear vision. However, the solution-focused Christian family counselling already has all the resources essential for the problem solving in Jesus Christ, and by making the client family see the power of Holy Spirit, that is, grace from the God in the past, their merits and exceptional situations, they can be led along a new road, and that is the difference from the approach of solution-focused family counselling. In the case where the solution-focused Christian family counselling was applied, the counsellor did not focus on why the youth ran away from the family, nor what she did, nor how to stop the behavior, nor how the runaway problem was maintained in the family structure, nor at what point the family failed. Instead, based on the small experiences where the runaway youth family was successful in daily life, it acknowledged their potential problem solving ability, and through the miracle questions, envisaged a future where problems will have been solved, searched for the exception questions to strengthen merits of the runaway youth family, and focused on the solutions that the family have been trying. Through messages in counselling, the proper word of God in the Bible, along with memories of "blessed events" were reminded to the runaway youth family of runaway youths, and small pieces of easy homework was provided. Solution-focused Christian family counselling could be criticized in that it does not acknowledge the negative experiences of runaway youth family and might be forcing a solu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further the solution-focused brief Christian family counselling to prove its effective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