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은 사물과 현상에 대한 지적 탐구로서의 교육적 경험의 성격을 해명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그 경험이 지니는 심리적 측면, 인식론적 측면, 가치론적 측면을 총체적으로 조명할 필요가 있다. 칸트의 美學은, 그의 인식론과 윤리학을 기반으로 하여, `개념`에서 `이념`에로 나아가는 마음의 역동적 양상과 기제를 해명하고 있다. `반성적 판단`, `취미`, `상상력`, `합목적성` 등과 같은 칸트 미학의 핵심개념들은 모두 탐구의 사태에서 의식에 포착되는 `미지의 것`(이념)의 역동적 양상과 그것을 지향하는 마음의 작용을 해명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 점에서 그의 미학은 탐구와 이해로서의 교육적 경험의 총체성을 온전히 존중하는 해명을 제시하고 있으며, 지적 탐구의 사태는 심성함양의 사태와 다르지 않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칸트의 해명은, 초등교사는 욕망과 감정을 가진 존재로서의 인간이 짊어질 수 있는 가장 어렵고, 동시에 가장 고귀한 과업을 지닌 존재라는 점을 보여준다.
The main task of educational theory is to present the theoretical explication on the nature of educational experience as the enquiry and understanding of the world. To fulfill this task, three aspects of educational experience, i.e. psychological, epistemological and normative aspect, should be explicated coherently and concretely. Kant`s aesthetics, the main body of his last Critique, Critique of Judgement, can be interpreted as the exemplar of this kind of theory. In terms of Kant`s aesthetics, to try to enquire and understand of world is to try to transit from `Concept`(or Sensible world) to `Idea`(or The Supersensible). This transition is the movement or orientation of human mind which happens in the context of the understanding of the world. His aesthetics reveals not only the logical possibility and but also the dynamics of this transition. As the theoretical explication of enquiry and understanding, Kant`s aesthetics can be interpreted as the educational theory which has, in itself and by itself, epistemological, psychological and normative implications. Especially his aesthetics reveals the conceptual relation between knowledge(or understanding) and the cultivation of humanity. The transition from `Concept` to `Idea` is to recognize or aware of the supersensible vocation of human being. According to Kant`s aesthetics, the task of teacher, as the leader of enquiry and understanding of student, should be regarded as the most supreme and noble one of all the tasks we, as mortal being, can underta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