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90
18.97.14.90
close menu
Accredited
"안 그러면 종우는 맨날 맨 마지막에 밥을 먹게 돼서요": 통합학급의 비장애학생들이 장애학생에게 제공한 또래지원
A Qualitative Inquiry on Peer Supports Among Children in an Inclusive Classroom
박승희 ( Seung Hee Park ) , 홍정아 ( Jung A Hong )
UCI I410-ECN-0102-2012-370-000130587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학급 내에서 비장애학생들이 장애학생에게 제공하는 또래지원의 유형들과 이러한 또래지원을 제공하는데 영향을 미친 요소들을 실제 교실 맥락 내에서 밝히는 것이다. 서울특별시 소재 일반 초등학교의 4학년 한 통합학급에 대해 관찰과 5명 비장애학생과 담임교사에 대한 개별면담의 질적연구 방법이 적용되었다. 통합학급 내에서 관찰되고 면담을 통해 얻은 자료분석을 기초로 장애학생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또래지원 유형은: (1)학습을 위한 지원; (2)학교생활 적응을 위한 지원; (3)사회적 관계 형성 및 유지를 위한 지원으로 나타났다.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또래지원 제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은: (1)장애학생과의 물리적 인접성; (2)장애학생의 개인적 특성; (3)비장애학생들의 모델링과 내적강화; (4)교사의 역할 및 영향력; (5)학부모의 영향력으로 추출되었다. 통합학급 내의 비장애학생은 장애학생에게 다양한 유형의 또래지원을 제공하는 지원자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통합학급 내에서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또래지원은 교실을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들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었다. 본 연구는 실제 한 통합학급에서 자료를 수집하였기 때문에 연구참여 학급이 속한 학교의 문화, 학급 구성원, 교사 및 학생의 특성을 포함하고 있어 다른 학급들에 일반화하는데 제한이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한 통합학급 사례를 통해 일반 초등학교에 통합된 장애학생을 지원하기 위한 한가지 자원으로서 또래지원에 대한 질적 탐구의 진전과 통합학급 내 또래지원 이해의 정교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통합학급 내의 또래지원의 개발과 활용에 기여할 수 있는 질적연구의 한 시각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eer supports among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n a 4th-grade elementary inclusive classroom where one child with disabilities was included with other 41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We observed a 4th-grade inclusive classroom for one week and interviewed five non-disabled children and the classroom teacher for collecting qualitative data on the peer supports occurred in the inclusive classroom. As a result, there were three types of peer supports which were rendered to one child with disabilities by the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1)supports for learning of the child with disabilities; (2)supports for school adaptation of the child with disabilities; and (3)supports for making and maintaining social relationships. There were five factors which were influential to the amount and types of peer supports: (1)the physical proximity between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2)individual characters of the child with disabilities; (3)modeling and intrinsic reinforcement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4)the teacher`s roles and impacts; and (5)the parents` roles and impacts. Since this study collected the qualitative data from a single inclusive classroom, there were some limitations in generalizing the results to other inclusive classrooms. However, it could present the possibilities to sophisticate the view on peer supports among the students in inclusive classrooms and to make full use of peer supports to support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be fully included and to participate in curricular and non-curricular activities occurred in inclusive education setting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advance and elaborate the qualitative inquiry on peer supports among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n inclusive school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